<새영화> 히스 레저의 고독 '캔디'

(연합뉴스) 캔디(candy)는 맛있는 사탕이다. 또한 그 유혹을 떨쳐버리기 힘든 마약이기도 하다(캔디는 영어권에서 마약의 속어로 쓰이기도 한다).

영화 '캔디'에서의 캔디는 남자 주인공이 젊은 시절 도저히 거부할 수 없는 연인의 이름이자 헤어나오지 못하는 마약이다.

2006년 베를린 국제영화제 공식 경쟁부문에 출품됐던 호주 닐 암필드 감독의 '캔디'에서는 올해 1월22일 우발적 약물 과다 복용으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브로크백 마운틴'의 히어로 히스 레저의 음울한 음영과 마주할 수 있다. 마지막 한 장면을 빼고 영화가 진행되는 내내 마약에 절어사는 남자를 연기한 히스 레저의 눈빛이 세상을 뜨기 직전 그의 얼굴이 아니었을까라는 상념에 문득 사로잡힌다.

히스 레저는 웃고 있어도 눈물이 날 것 같은 얼굴과 불안한 눈빛으로 화면을 채운다. 이 영화로 호주 FCCA어워즈 여우주연상을 받은 아름다운 여배우 애비 코니시는 천국과 지옥을 오가는 영혼을 그려낸다.

남자에게 캔디는 '천국'이자 '땅'이자 '지옥'이다. 영화는 이 세 가지 화두로 구성돼 있다. 천국에 있는 듯한 희열을 맛보게 하는 연인과 마약, 즉 캔디로 인해 미래가 아닌 현재에 충실한다는 명목으로 삶을 방치하는 두 젊은이의 위태로운 나날을 들여다본다.

시인 지망생 댄과 화가 지망생 캔디는 사랑하는 사이다. 캔디는 댄이 전부라 하지만, 댄은 캔디가 전부는 아니라고 생각하는 차이가 있을 뿐. 하지만 이들의 모습은 파국을 향해 달려가는 눈먼 기관차 같다.

마약에 빠진 캔디는 쇼크로 죽기 직전에 이르지만 깨어난 후 '환상적이야'라고 말한다. 이미 돌이킬 수 없을 정도의 마약 중독 상태에 빠진 두 사람은 돈을 벌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어떠한 정상적인 행위도 하지 않은 채 마약에 탐닉한다. 팔 게 없어진 댄과 캔디는 캔디가 몸을 팔아 벌어온 돈으로 곧장 마약을 산다.

그들 곁에는 이들의 삶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면서도 적극적인 개입은 하지 않는 캔디의 부모와 아버지를 원망하다 자신도 마약 중독이 된 대학교수 캐스퍼가 있다. 동성애자인 캐스퍼는 직접 마약을 조제하며 이따금 두 사람에게 돈을 빌려주기도 한다.

캔디의 매춘 행위가 점점 더 나락으로 떨어져가는 즈음 캔디가 임신을 한다. 두 사람은 태아를 위해 마약을 끊어보려는 시도를 처음 하지만 금단의 고통 끝에 마약에 절어 있는 부모를 둔 태아는 캔디의 뱃속에서 죽은 채 세상 밖으로 나온다. 이제 댄과 캔디의 관계도 경계선을 향해 치닫는다. 도시에서 더 이상 갈 곳이 없는 두 사람은 한적한 시골을 찾는다. 이곳에서 캔디는 극심한 정신적 혼란을 겪는다.

젊은 날의 방황이 이처럼 위험한 것이라면 젊다는 것 자체가 감당하기 버거운 짐일 터. 고통은 길고 희망은 짧다. 그 희망조차도 안도할 수준은 아니며 그나마 그것이 희망인지, 삶으로의 힘겨운 귀환인지 가늠하자니 심란해진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