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지자체간 유치경쟁도 요인
(연합뉴스) 한국영화산업이 극심한 불황을 겪으면서 국내 최대 영화촬영지인 부산도 타격을 받고 있다.
8일 부산시와 부산영상위원회에 따르면 올들어 5월말까지 부산에서 촬영하겠다며 지원을 신청한 영화와 영상물은 총 59편으로 지난 해 같은 기간의 47편보다 늘었다.
장편영화는 35편으로 작년과 같았으나 기타 영상물은 24편으로 지난 해(16편)보다 50% 늘었다.
그러나 막상 촬영을 한 영화와 영상물은 28편으로 지난 해 같은 기간의 38편보다 10편이 줄었다.
특히 장편영화의 경우 지난해에는 24편이 촬영됐으나 올해는 10편에 불과해 절반에도 못미쳤다.
이처럼 부산에서의 영화촬영이 크게 줄어든 것은 한국 영화산업이 스크린쿼터 축소와 불법 다운로드 등으로 인해 극심한 불황을 겪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또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영상위원회를 설립해 영화촬영 유치경쟁에 나서고 있는 것도 한 요인이라는 게 부산시의 분석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영상위원회를 설립한 지자체는 12곳에 이르며 각종 인센티브를 내세워 영화와 영상물 촬영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 편의 영화촬영을 위해서는 많은 인원과 장비가 동원되므로 해당 지역 경제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데 올해는 이처럼 영화촬영이 급감하면서 관련업계들이 적지 않은 타격을 입고 있다.
지난 해 부산에서는 장편영화 43편과 기타 영상물 35편 등 총 78편이 촬영됐는데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437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부산발전연구원은 분석한 바 있다.
부산시는 촬영지원 신청 건수가 작년보다 늘어난데다 해운대구 센텀시티에 건립 중인 영상후반작업시설이 10월에 준공되면 촬영부터 편집 등 각종 후반작업을 일괄 서비스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게 됨에 따라 하반기에는 호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국내 지자체간 촬영유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만큼 해외로 눈을 돌려 아시아와 미국 헐리우드 영화의 촬영을 유치하기 위해 대형 스튜디오를 추가로 건립하는 방안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해외 영화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각종 세금감면 등의 혜택이 필요한 만큼 부산시가 추진 중인 국제자유도시 계획에 영화영상분야를 특화해 포함시키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국제영화제와 아시아 필름마켓을 통해 세계적인 영화도시로 부상한 부산이 아시아의 명실상부한 영화중심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영화촬영과 후반작업이 많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세금감면 등과 같은 국가적인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