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후임 인선작업 돌입
이명박 대통령이 내각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후임 인선작업에 들어갔다.
이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들에 대한 인사를 완료한 뒤 내각을 교체하는 단계별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청와대는 이번 후임 인선에서 가급적 영남과 고대 출신을 배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다만 교체 대상과 후임을 정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11일 브리핑에서 ‘非영남, 非고대, 재산 10억원 이하’라는 이른바 ‘인선 3원칙’과 관련 “최근 대통령이 추기경을 만난 자리에서도 ‘국민 눈높이를 맞추고 도덕적 기준을 중시하겠다’고 했었다”며 “이를 염두에 두고 보면 비슷한 말씀을 하셨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하지만 숫자로 표현된 일부 기준(재산 10억원 이하 지칭)은 너무 작위적인 것 같다”고 언급했으며, 시기에 대해서는 “인사라는 건 큰 흐름의 마무리 국면에서 하는 것이 정상”이라며 “기대하는 것보다는 상당히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박근혜 총리 카드와 관련해서는 “제안한 적이 없다”고 부인한 뒤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검토하고 있지만 현재 컨베이어 벨트에 올라 있지 않은 것으로 안다, 진행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따라서 하마평이 나돌고 있는 박근혜 총리카드는 수면 밑으로 가라앉은 가운데, 강재섭 등 한나라당 전·현직 대표와 함께 호남의 강현욱 전 전북지사 등 제3의 후보가 부각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하지만 박 전 대표가 총리직 제안을 수락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어 보인다. 박 전 대표가 총리직을 수락하기 위해서는 이명박 대통령의 진정성이 담보돼야 하는 것은 물론 총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전면 조정이 선행돼야 하는 것이 필수 조건이다.
류우익 대통령실장이 교체될 경우 후임으로는 정치권에선 강창희, 김덕룡, 맹형규 전 의원과 함께 윤진식 전 산자부 장관 등이 거론되고 있다. 강 전 의원은 박근혜 전 대표의 핵심측근으로 대안으로 거론된다. 김 전 의원은 정치특보 물망에 오르기도 한다.
정무수석은 박형준, 권오을 전 의원 등이 후보군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민정수석에는 법무차관을 지낸 김상희 변호사와 정종복 전 의원 등이 자천타천으로 거론된다.
경제수석과 외교안보수석은 내부인사 발탁이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대학교수들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내각 개편의 경우 보건복지가족부는 한나라당 전재희 의원(광명)과 안명옥 전 의원 등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과학기술부장관에는 4선의 황우여 의원(인천 연수)과 재선의 임해규 의원(부천 원미갑) 등이 당내외에서 거명되고 있다.
/강해인기자 hika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