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종자 귀국

임병호 논설위원 bhlim@ekgib.com
기자페이지

토종종자 귀국¶¶국내에서 사라졌던 토종 농작물 종자 32종 1천546점이 지난 5월29일 고국의 품에 다시 안겼다. 일본 유출 100년 만의 귀환이다. 지난해 6월 미국이 보유하고 있던 한반도 원산 유전자원 34종 1천679점에 이어 두 번째다. 이들 작물은 그동안 일본 농업생물자원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던 한반도 원산의 유전자원들로, 20여 차례의 끈질긴 요청 끝에 돌려받는 데 성공했다고 농촌진흥청이 설명했다.

현재 세계 각국은 식량자원 확보를 위한 물밑경쟁이 치열하다. 일찍이 자원 확보에 눈을 돌렸던 선진국들은 전 세계에서 수집한 자원들을 활용하기 위해 지적재산권 확보에 열을 올리고, 개발도상국은 자국 원산의 토종자원에 대한 소유권과 배상을 주장하는 등 신경전이 한창이다.

일본에서 반환된 주요 유전자원은 곡류가 벼·보리 등 4작물 649점, 잡곡류 귀리·율무·조·수수 등 6작물 215점, 두류는 콩·강낭콩·좀돌팥 등 5작물 446점이다. 채소류는 파·박·무 등 8작물 29점, 특용은 아마·차조기·유채 등 6작물 202점, 기타 작물은 오챠드그라스, 비수리, 블루그라스 등 4작물 5점이다. 특히 1930년에서 1940년대 한반도에 살았던 자원과, 남한에서는 사라졌지만 북한에 서식하는 토종자원 등 귀한 작물이 다수 포함됐다.

보리의 경우 영월6각· 황금맥·재래청·조선백나·흥양재래·충청재래 등이 돌아왔다. 콩은 흑목태협·백소태·단천황·회색대두·적서목대두·농다대태 등이며 벼는 용조·조조·서경조·조선재래유·다다·한천로조·장립유 등 우리 고유의 토종 재래종이다. 또 북한지역 토종자원으로는 함남 갑산의 아마, 황해도 사리원의 밀·귀리·조·기장 등이다. 생경한 이름들이 있지만 우리 토종이란 점에서 우선 반갑고 정겹다.

농진청은 이 작물들을 신품종 육성에 활용하는 한편 잊혀진 작목의 복원과 가치 창출에 나선다고 한다. 웰빙 식품은 물론 우리 토종자원 특유의 맛, 색, 향 등에 함유된 항산화물질 등 다양한 기능성물질의 증대와 새로운 식(食)·의학 소재로 개발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21세기는 종자전쟁, 자원전쟁이라고 부를 정도로 세계 곡물난이 매우 심각한 상태다. 농진청의 연구·개발에 거는 기대가 크다.

/임병호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