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하락, 수명연장 등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우리 경제성장의 주축으로 생산동력이었던 베이비붐세대가 주 퇴직연령대에 진입하고 있다.
즉,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우리 사회는 이미 50대 이상의 인구비중이 2000년 7.2%인 고령화사회로 진입했으며, 2018년에는 14.3%인 고령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추정되며, 2026년에는 20.8%인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50+세대의 산업시장 규모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2000년 17조원에서 2006년 27조원, 2010년에는 41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그런데 50+세대는 소득에 따라 양극화가 심하고, 미래에 대한 노후대책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불안감이 팽배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50+세대의 퇴출 붐에 대비한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이 국가 전체는 물론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필요한 과제다.
문제는 50+세대의 창업이 많은 애로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첫째, 청년창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책적 지원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둘째, 창업가로서의 경험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셋째, 신지식, 신기술 및 신세대 유행에 둔감하다는 것이다. 넷째, 실패시 재기기회가 부족하여 실패부담감이 크다는 것이다. 다섯째, 사회적 환경조성 및 연계네트워크가 성숙되어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물론 지방자치단체로써는 시니어의 경력, 전문성,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국가경제 및 지역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50+세대의 창업환경을 조성하여 고령화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50+세대의 퇴직자에 대한 사회인식의 전환을 통해 경제활동에의 참여, 기업가정신계승 등을 유도하여야 한다.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50+세대의 창업활성화를 위해 창업단계별로 창업지원체계를 마련하여야 한다.
즉, 창업 전 단계(희망단계), 예비창업자 단계(준비단계), 창업기업 단계(시작단계), 창업 후 단계(경영단계), 세대창업이전 단계(기업가정신 계승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지원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보다 구체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 및 구체적인 사업내용을 제시해 보면, 시니어의 여가와 일을 통한 삶의 질에 대한 인식개선 등 창업분위기를 조성하는 사업, 시니어 창업에 적합한 창업아이템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사업, 창업희망자, 예비창업자, 창업자간 정보공유망 구축 등을 통한 네트워크 및 커뮤니티 구축사업, 실전 및 현장 중심의 맞춤형 교육사업 등을 추진해야 한다.
그러나 여기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50+세대의 퇴출 붐에 대비한 대책을 마련함에 있어서 주의할 것은 기존의 창업촉진사업과의 차별성을 가져가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분야와 달리 50+세대의 창업촉진 정책은 제2인생, 인생 2막을 시작하게 하고, 경험과 노하우 등을 바탕으로 암묵지로 무장한 인력으로서 구축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일하며 여가를 갖는 준고령층으로서 활동하게 해야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창업촉진정책과는 차별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이 분야는 기존시장과 시니어산업분야에 더하여 경험과 전문성을 활용하여 지식서비스관련 업종시장으로서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창출되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기존 창업정책과 차별적이지 않을 경우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될 위험도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바, 각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정책과 사업개발을 기대해 본다.
/김수환 중소기업연구원 전문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