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참여당 후보로 서울시장 출마를 검토중인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광역단체장 단일 후보는 경쟁력을 위주로 선정하고, 기초단체장과 지방의회는 각당 지지율에 따라 배분하자'고 제안했다.
유시민 전 장관은 19일 SBS라디오에 출연해 6.2 지방선거 야권 후보 단일화 방안을 묻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그는 "광역 후보는 경쟁력을 위주로 단일화를 해내고, 기초단체장과 광역 지방의회의 경우 각 정당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 등을 감안해 단위 후보를 숫자로 나눈다면 연합하는 데 장애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결심만 하면 된다"고 말한 유 전 장관은 "민주당 내부에서 이러한 결단이 쉽지 않기 때문에 (야권 후보 단일화 논의가) 진척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후보 단일화 시점을 묻는 질문에는 "각 후보가 입후보 등록을 한 뒤 사후 단일화 하는 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단일화가 아니라 플레이오프에 가깝다"면서 "각 정당은 나름대로 유력한 후보를 선보인 뒤 3월 말이든 4월 말이든 시한을 정해 그 중 한 사람을 광역단체장 후보로 정하는 편이 좋다"고 답했다.
유시민 전 장관은 이어 "야5당의 연대가 안된다는 것이 확인되면 민주당을 제외한 나머지 야4당이 짧은 시간 안에 확실한 연대를 형성할 것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민주당에 사실상 '경고'하기도 했다.
유 전 장관은 "경고가 아니라 진심으로 부탁하는 것"이라며 이 같이 말하고, "그렇게 되면 한나라당과 민주당 후보, 그리고 나머지 4당 연합 후보가 3파전을 하기 때문에 민주당이 굉장히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장 출마 가능성에 대해 그는 즉답을 피한 채 "이명박 정권의 잘못된 정치행태에 제동을 거는 일에 도움이 되면 출마할 거이고, 그렇지 않다면 출마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대선 출마 여부에 대해서는 "청년 취업이나 비정규직 문제, 경제성장률 저하 문제 등을 놓고 국정운영을 한다면 답이 있을지 고민해보고 있다"면서 "지금은 이에 대해 더 공부하고 고민해야 할 시점이지 개인적인 선거 출마를 생각할 정도로 시국이 한가롭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