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불편한 ‘보금자리’ 우려

시범지구 11곳 녹지율·광역교통시설 기존 신도시보다 열악

정부가 경기도내에 조성하고 있는 보금자리주택의 녹지율과 광역교통시설 투자 비율이 기존 신도시보다 저조하는 등 주거환경이 차별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도에 따르면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고양원흥, 하남미사 등 2개 지구를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로 지정, 3만2천142호의 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후 국토부는 같은해 10월과 12월 2단계 지구지정을 통해 부천옥길, 시흥은계, 구리갈매, 남양주진건 등 모두 11개 지구 2천407만3천㎡에 10만6천142호의 보금자리주택을 추가 공급키로 했다.

 

그러나 도내 보금자리주택지구의 경우 평균 170만㎡의 중·소규모로 추진되고 있어 난개발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녹지비율과 광역교통시설 투자 비율도 기존 신도시보다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비율의 경우 광교신도시가 41.7%, 판교신도시 37.3% 등 대부분이 30% 이상을 넘고 있는 가운데 보금자리 시범지구는 21%밖에 되지 않는다.

 

또 광역교통시설 투자금의 경우 기존 신도시가 전체 사업비의 20%를 차지하는 반면 보금자리 시범지구는 12.5%에 그치는 등 교통인프라 확충에도 소극적이다.

 

이는 정부가 보금자리주택의 경우 그린벨트 지역내 건설돼 외부 녹지율이 충분하다고 주장하고, 광역교통시설 투자금은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더 늘릴 수 없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보금자리주택에 거주하는 서민들은 기존 신도시와 차별로 인해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해야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낙후된 환경으로 인한 인근 지역과의 단절 등이 우려되고 있다.

 

이와 관련 도는 지난해 보금자리주택에 대한 녹지율 증가를 국토부에 건의하는 등 정부의 일방적인 개발 방식에 반발하고 있으며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경기도형 보금자리주택을 추진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보금자리주택에 대한 녹지율 증가와 광역교통인프라 확충은 도가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사항이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동식·장충식기자 jj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