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야권 후보난립', '여권 친이-친박 갈등재연'
6.2 지방선거가 하루하루 다가올수록 유력 후보군은 정리되기는커녕 오히려 더욱 넓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선 범야권의 정당들은 내부의 경선과 외부의 야권 후보 단일화라는 2중 관문을 뚫어야 함에도 후보들이 난립한 상태다.
경선 방식을 놓고 집안 싸움이 가열되는 민주당에 맞서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이 각기 후보를 내세우며 자존심을 건 싸움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그 파괴력을 두고 관심을 모으고 있는 국민참여당은 7일 유시민 전 장관(경기), 이재정 당 대표(충북), 이병완 전 창당준비위원장(광주) 등을 광역단체장 후보로 사실상 확정하며 다른 야당과의 일전을 예고했다.
물론 진보진영 선거 연대 논의가 진행중이지만 후보 단일화라는 최종 결과물을 낼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또 연대가 이뤄지더라도 본선을 준비하다 예선 탈락된 후보들이 결과에 승복할 것인지, 기초단체장이나 지방의회 선거의 경우 지분다툼이 일어나지나 않을지 우려되고도 있다.
세종시 내홍 때문에 뒤늦게 지방선거 채비에 나선 한나라당은 이제서야 공천 갈등이 달아오르고 있다.
내홍이 봉합되기도 전에 공천심사위원회 구성을 두고 친이-친박 갈등이 재연되고 있으며, 자칫 중심에서 밀려난 여권 안팎의 친박계가 세력을 결집해 독자 후보를 내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지방선거는 또다시 새 국면을 맞을 수도 있다.
이밖에 심대평 전 자유선진당 대표가 충청권 중심의 국민중심연합 창당을, 동교동계 핵심 인물인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는 호남지역 신당 창당을 본격화했다.
현재는 상대적으로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지만 기존 정당 공천 탈락자들이 대거 신당행을 택한다면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처럼 이명박 정부 중간심판의 성격을 띤 이번 지방선거에 정치권의 이해관계는 제각각 얽혀 있어 결국 다자체제로 선거가 치러질 가능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