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종걸 “완전경선제”…참여당 유시민 “불수용” 선출방식 이견
경기도지사 후보 선정 방식을 놓고 민주당과 국민참여당이 이견을 보이면서 야권 선거 연대 협상이 사실상 결렬됐다.
민주당 등 야4당과 시민단체들은 22일 다시 만나 야권연대 협상을 계속 벌였으나 경기지사 후보 선출방식을 놓고 민주당과 국민참여당의 이견으로 접점을 찾지 못했다.
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한 김진표 최고위원(수원 영통)과 이종걸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장(안양 만안)의 민주당은 여론조사와 개방형 완전 국민경선제 합산방식을 요구한 반면, 유시민 전 장관이 출마할 예정인 국민참여당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섰다.
협상에 참여하는 4개 시민단체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당이 특정 정당의 특정 후보가 어느 지역에는 출마해선 안된다고 하는 것은 연합정신에 비춰 받아들이기 힘들다”며 야권 연대 합의문 수용을 촉구했다.
민주당은 경기도지사에 출마한 국민참여당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겨냥, 경기도지사 경선에서 여론조사 40%, ‘오픈 프라이머리(개방형 완전국민경선제)’ 60%를 주장했다.
여론조사 비중을 높일 경우 대중적 지지도가 높은 유 전 장관에게 유리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국민참여당은 법적으로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할 가능성이 적지 않고 동원 선거 등 부작용도 우려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일축했다.
민주당 김민석 최고위원은 “과거 여러 차례의 야권통합이나 대선후보 단일화 협상과정에서 수차례의 중단, 잠정결렬, 협상대표 교체 등의 난항을 겪고서도 최종적으로 성사된 경험을 가지고 있다”며 “야권연대는 포기할 수 없는 민주당의 확고한 입장이고 반드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참여당도 이날 논평을 내고 “우리 당은 이것이 협상의 결렬은 아니라고 보며 결코 그렇게 돼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이제 진보신당을 포함한 야 5당과 시민단체는 다시 협상에 나서야 한다”며 야권연대 수용을 촉구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