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개혁 내걸고 도입, 도내 5곳 불과 상한선 30% 크게 못미쳐… 일방적 도입 반발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이 공천개혁 천명과 함께 내세웠던 시민공천배심원제 전면 도입이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도내 일부 지역의 기초단체장 예비후보들은 사전동의 없이 도당이 일방적으로 시민공천배심원제를 도입했다고 주장하며 반발하고 있다.
민주당은 29일 경기도내 오산, 화성 등 기초단체장 2곳을 시민공천배심원제 적용 대상으로 선정한 가운데 고양, 성남, 수원 등 기초단체 3곳의 후보 경선에도 시민공천배심원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다음달 3일 시작되는 경선 일정을 감안하면 시민공천배심제 실시 지역은 도내 기초단체장 선거 31개 지역 중 16%인 5곳 정도로 마무리될 전망이다.
이는 민주당이 전략공천의 상한선인 30% 내에서 시민공천배심원공제 도입을 공언해 온 것에 비하면 크게 못 미친다.
그동안 민주당은 국민참여경선 등 기존 제도는 동원·조직선거의 가능성이 높아 유능한 정치신인의 진출이 어렵다며 한나라당과의 차별화와 인재 수혈 차원에서 개혁공천을 다짐해왔다.
안산시장 예비후보인 김재목·부좌현·이창수·전종훈 등 4명은 이날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민주적 경쟁 모델로 시민사회단체에서 제안한 바 있는 국민공천배심원제가 비틀거리고 있다”며 “돈선거와 동원선거를 끊고 자질 및 비전을 검증해야 한다”며 시민공천배심원제 도입을 촉구했다.
반면 수원시장 예비후보인 신장용 후보측은 “경기도당이 마치 후보자 간 합의가 이루어진 것처럼 도당 공심위가 수원, 성남, 고양 등 3곳을 시민공천배심원 경선 지역으로 결정했다”며 “그러나 신 후보와 염태영 후보 간 공천 방식에 대한 어떠한 합의도 없었다”고 반발했다.
더구나 고양은 시민공천배심원제 적용이 중앙당에서 확정되기도 전에 도당 공심위가 경선후보를 압축 결정해 반발을 사고 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최고위원회를 열고 시민공천배심원제 경선지역으로 확정된 화성, 오산의 압축 후보를 확정 발표했다.
100% 시민공천배심원 경선을 실시하는 오산의 경우 곽상욱(전 열린우리당 오산시장후보)과 박동우(오산 제일신협이사장), 이종상 예비후보(오산시의회 전문위원)등 3명을 압축해 1인 2표제로 후보를 결정한다.
화성은 박봉현 전 화성부시장과 채인석 화성시정연구원장 등 2명이 시민공천배심원제(1인1표) 50%와 당원전수조사 50%를 적용, 최종후보를 결정키로 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