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직장인들의 평균 연봉인상액은 93만원 대로 대부분이 인상수준이나 결정방식 때문에 결과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커리어가 올해 연봉협상을 마친 직장인 926명을 대상으로 지난 27일부터 이틀 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2.2%가 올해 연봉협상 결과에 대해 ‘만족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불만족 하는 이유로는 ‘협상이라기 보다는 통보에 가까운 방식 때문’(64.1%)을 가장 많이 꼽았고, ‘실제로 인상된 금액이 너무 적어서’(17.7%), ‘연봉이 동결, 삭감됐기 때문’(12.1%)이 뒤를 이었다.
실제로 이들이 연봉협상 이전 기대했던 인상률은 평균 7.5%, 인상액은 약 252만원으로 실제 인상률의 1/3 수준이다.
불만족하다고 답한 이들 중 상당수(67.7%)는 이직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현재보다 451만원 정도 더 준다면 이직하겠다고 응답했다.
한편, 직장생활에서 연봉이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서는 ‘매우 중요하다’(69.2%)와 ‘약간 중요하다’(25.9%)는 응답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보통이다’(4.1%), ‘별로 중요하지 않다’(0.5%), ‘전혀 중요하지 않다’(0.3%)는 대답은 소수에 불과했다.
직장을 선택할 때 중점을 두는 요소(복수응답) 역시 ‘연봉’이 85.4%로 1위를 기록했으며, 이어 ‘비전’(58.9%), ‘복리후생’(55.7%), ‘직무’(53.3%), ‘고용안정성’(37.4%), ‘재무안정성’(13.4%), ‘경영투명성’(7.9%) 이 뒤를 이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