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5+4 선거연대’ 전격 수용 야권, 민주 11일 경선후 성사 가능
무산위기에 처해 있던 야권의 경기지사 후보단일화 협상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선-통합, 후-야권후보 단일화’를 주장했던 민주당 김진표 최고위원(수원 영통)이 5일 그동안 중단됐던 ‘5+4 선거연대 후보단일화 방식’에 대해 조건없는 수용을 전격적으로 표명함에 따라 새로운 국면 전환을 맞고 있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5+4선거연대가 이번 지방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는 후보단일화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확신한다”며 “5+4선거연대가 마련한 후보단일화 방안을 조건없이 수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최고위원의 이같은 입장 변화는 최근 여론조사 결과, 야권후보들 가운데 강력한 라이벌이라고 생각한 국민참여당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보다 지지율에서 앞선 것이 주요 원인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참여당 유시민 전 장관도 5+4 선거연대회의와 시민사회단체에 경선방식을 위임해 놓은 만큼 어느 때보다 단일화 방식 합의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다.
하지만 김 최고위원와 유 전 장관과의 단일화에 앞서 넘어야할 산을 남기고 있어 그리 녹록치 않은 상태다.
우선 민주당 이종걸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장(안양 만안)과 김 최고위원간 오는 11일 경선이 실시된 후에 단일화가 성사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물론 이 위원장이 야권연대와 시민사회단체에 경선방식을 위임할 경우 보다 쉽게 단일화가 이뤄질 수 있다. 그러나 이 위원장이 반대할 경우 야권 단일후보는 민주당 후보 경선을 치룬 뒤 실시해야 한다.
또 진보신당 심상정 전 대표와 민주노동당 안동섭 예비후보와의 단일화도 남겨두고 있는 상태다. 여기에 6일 열리는 5+4 선거연대 협상이 어떻게 진행되느냐도 관건이다.
/강해인·김재민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