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퇴행성 관절염, 여성이 남성의 3.7배”

분당서울대병원 김태균·장종범 교수팀, 노인 660명 조사

우리나라 노인의 무릎 퇴행성 관절염에서 X-ray 사진상의 정도와 실제로 환자가 느끼는 증상의 정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 남·여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분당서울대병원 관절센터 김태균·장종범 교수팀이 65세 이상 성남시 거주 노인 660명(여성 368명, 남성 292명)을 대상으로 무릎 관절을 진단하는 X-ray 사진을 촬영 후 나타난 관절염의 정도와 실제 증상과의 연관성을 성별로 나눠 분석한 결과를 보면 남·여 모두에서 경도의 관절염에서 중증도의 관절염으로 이행될 때 실제로 환자들이 느끼는 임상 증상의 악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X-ray 사진상 중증도에서 마지막 단계인 심한 관절염으로 진행될 때에는 여성이 아픔을 더 많이 호소했지만, 남성은 증상의 악화가 뚜렷이 발견되지 않았다. 증상의 악화가 심해지는 중증도 이상의 퇴행성 관절염이 여성에서 약 3.7배 더 많았으며(남성 10.4%, 여성 38.4%), X-ray 사진상에서 비슷한 정도의 관절염을 앓을시에도 남성에 비해 여성이 통증이나 기능 장애를 더 심하게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태균·장종범 교수팀은 “서양에서도 여성이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이 좀 더 호발하고 증상도 좀 더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매우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무릎 관절염이 남성에 비해 여성이 많은 원인은 남, 여간의 해부학적 구조의 차이, 무릎 관절에 무리가 가는 쪼그려 앉는 등의 생활습관, 그리고 무릎 주변의 근력의 차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석했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ekgib.com

 

이 연구결과는 정형외과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CORR 의 특별호에 게재됐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