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 “국제사회와 공조 엄중 대응”

국가 안보의식 강화 촉구… 일부 진보단체 증거 의구심 제기도

민군 합동조사단이 20일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어뢰 공격에 의한 것이라고 공식 발표하자 시민들은 이번 기회에 국가의 안보 의식을 강화하고 북한에 상응하는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엄중 대응을 촉구하고 나섰다.

 

시민들은 대체로 이번 참사가 북한의 소행이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면서 국제사회와 공동보조를 맞춰 북한에게 상응한 책임을 묻고 재발 방지를 위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일부 진보단체는 합동조사단의 발표 시점과 북한 소행에 대한 정부 발표를 신뢰할 수 없다며 의구심을 제기했다.

 

대학생 장모씨(24·수원시 인계동)는 “북한이 어떤 목적으로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명백한 도발이자 폭력이므로 이를 묵과해서는 안된다”며 “전쟁이 나서는 안 되겠지만 너무 북한의 눈치만 봐서도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방 경기도재향군인회 사무처장은 “북한의 도발이라는 사실이 만천하에 드러난 만큼 군차원의 강한 응징이 필요하다”며 “재향군인회에서는 북한의 도발행위에 대한 응징 규탄대회를 가질 예정”이라며 정부의 강경 대응을 요구했다.

 

주부 이모씨(52·수원시 우만동)는 “46명의 젊은이들이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북한은 반성의 기미도 보이지 않고 검열단을 보내겠다고 하고 있어 더욱 괘씸하다”며 “군사적인 대응은 전쟁의 위험 때문에 어렵겠지만 국제사회와 공조해 최대한 강경한 대응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도경제단체연합회를 비롯한 도내 5개 경제관련단체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북한에게 상응한 책임을 묻는 동시에 북한으로부터 재발방지의 약속을 받아내야 한다”며 “이번 사태로 인해 향후 남북경협의 위축으로 예상되는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며 우려했다.

 

회사원 이모씨(40·용인 상현동)씨는 “북한이 공격했다고 해서 정부와 군에 면죄부가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국가안보에 심각한 문제를 드러낸 만큼 군의 대응 체계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이주형 경기북부참여연대 공동대표는 “북한의 어뢰공격이라고 확증할만한 증거가 부족하고 조사과정과 절차상에도 납득이 가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며 “좀 더 명확한 진상규명을 통해 실체적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최원재·박민수기자 chwj74@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