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역행위? 용기있는 행동? 참여연대 논란 확산

보수단체 "이적행위" 검찰 수사의뢰 등 총공세 속 지지발언 잇따라

참여연대가 천안함 사건 조사 결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내용의 서한을 유엔 안보리에 보낸 가운데 이를 둘러싼 찬반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보수단체들은 "참여연대의 행동을 이적행위로 처벌해야 한다"며 연일 총공세를 퍼붓고 있다.

 

대한민국재향군인회는 15일 성명을 발표해 "조사 결과를 부정하고 안보리의 대북제재를 방해하고 나선 것은 국제조사단에 대한 도전이며, 46명의 순국 장병을 모독하는 행위"라고 비난했다.

 

대한민국상이군경회 회원 100여명도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건물 앞에서 "민군이 공조한 국제조사단에 의해 철저하고도 명확한 진상조사로 북한의 만행이 밝혀졌는데도 (참여연대는) 터무니없는 북한의 주장만을 대변하고 있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이들은 특히 참여연대를 '민족 반역단체' 또는 '매국 단체'로 규정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건물에 투척하기도 했다.

 

납북자가족모임도 이날 참여연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참여연대가 김정일의 지시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라이트코리아와 6.25 남침피해유족회 등 보수 반북단체들은 참여연대의 행위를 반국가행위로 규정,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이런 가운데 참여연대의 홈페이지는 이날 하루 다운됐으며, 서한 발송에 항의하는 전화가 쏟아지면서 업무가 마비되기도 했다.

 

그러나 참여연대가 비정부기구로서 제 목소리를 냈다는 주장도 잇따라 나오고 있어 참여연대의 행동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김세균 서울대 교수는 "(조사 결과가) 과학적으로 명백히 밝혀지지 않아 많은 국민들이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면서 "오히려 (조사 결과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날 때 국익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측면에서 참여연대의 서한 발송은 오히려 용기 있는 행동으로 봐야 한다"며 "이런 문제를 논의하는데 국내·국외를 따지는 것도 난센스"라고 덧붙였다.

 

가톨릭대 김만흠 교수는 "대북 문제와 관련해 정부와 NGO가 할 수 있는 역할은 다를 수밖에 없고, 그런 역할 분담은 꼭 필요하다"면서 "정부가 공식적인 창구라면 NGO는 나머지 부분을 지적 및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 입장만을 따라가면 그건 전체주의 국가"라고 강조했다.

 

환경재단 등 범시민사회단체들도 16일 참여연대에 대한 보수단체들의 '마녀사냥'을 비판하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열고 참여연대를 지지할 계획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