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잔디 학교운동장’ 확충 반발

시민단체 “유지보수비 추가 소요… 학교 내 석면 철거가 더 시급” 주장

경기도교육청이 ‘다양한 학교운동장 조성사업’ 명목으로 유해성 논란이 가시지 않은 인조잔디 운동장을 도내 학교에 확충하려하자 시민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특히 시민단체는 평균 5억여원의 사업비는 물론 유지보수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만큼 관련 예산을 학교건물내 석면 철거에 투자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2일 도교육청과 경기환경운동연합 등에 따르면 도내 각급 학교에 조성된 인조잔디 운동장은 총 210개교이며, 이중 73개교의 운동장을 도교육청이 조성했다.

 

도교육청은 올해 18개교에 대해 추가로 인조잔디 운동장을 조성할 계획이다.

 

그러나 경기환경운동연합은 유해성 논란이 채 가시지 않은 인조잔디 운동장을 조성하는 것보다 ‘시한 폭탄’이나 다름 없는 학교 건물에 사용된 석면의 철거가 우선적으로 해결돼야 할 일이라며 관련 예산의 전환을 도교육청에 제안할 예정이다.

 

지난 2009년 환경부와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의 인조잔디 유해물질 실태조사 결과 경기도 소재 50개 학교 인조잔디 충진재(고무분말)에서 납,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등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이 정한 재활용 고무분말의 유해물질 허용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평균 수명이 5~7년인 인조잔디 운동장의 유지보수 비용이 때마다 1억원~1억5천만여원에 달해 추가 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기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다양한 학교운동장 사업의 86%가 인조잔디 운동장으로 꾸며졌다”며 “유해성 논란이 아직까지 있는 만큼 인조잔디 운동장 설치 여부는 학교관계자와 학부모, 학생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처음 조성사업이 시작됐을 당시에는(2006년) 학교들이 인조잔디를 선호해 설치하게 됐다”며 “다만 최근에는 각 학교에서 천연잔디나 마사토, 감람석 등을 이용한 운동장 조성사업도 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유진상기자 dharma@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