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전국 4년제 대학과 전문대 등 253개 학교를 조사한 결과 재학생의 취업과 진로를 지도하는 교내 전문인력이 평균 2.1명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전문인력을 3~5명 둔 학교가 전체의 34.4%인 87개교로 가장 많았고, 2명(56개교, 22.1%), 6~10명(55개교, 21.7%), 1명(29개교, 11.5%)의 순이었다.
전문인력 1인이 담당하는 재학생 수는 평균 4천266명(4년제 5천648명, 전문대 2천838명)이었고, 취업과 창업 관련 동아리는 학교당 평균 14.2개가 운영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교비 총예산 대비 취업지원 관련 예산(외부 지원금 제외)의 비중은 0.55%로 2008년 0.36%에 비해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라고 고용부 측은 밝혔다.
또 대학에서 제공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도 취업캠프, 취업특강 등 단기 프로그램 위주로 이뤄지고 있고 취업 관련 교과목을 수강하는 재학생도 전체 16%에 불과하다고 고용부는 덧붙였다.
고용부 관계자는 “대학의 취업과 관련한 각종 지원이 대학생들의 취업난을 해결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21일에서 6월22일까지 전국대학교육협의회와 전문대학교육협의회의 협조를 얻어 4년제 대학 108곳과 전문대 145곳 등 모두 253개 학교를 상대로 이메일 응답 방식으로 이뤄졌다.
/권혁준기자 khj@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