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하락… U시티 사업 ‘흔들’

발주물량 기근에 통신망 사용 등 부조화로 사업추진 좌초 위기

평택 소사벌·화성 향남2지구 등 발주도 내년 이후로 지연 전망

집값 하락으로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가운데 IT기술을 접목한 ‘U(유비쿼터스)시티’ 사업이 침체 국면을 맞고 있다.

 

연간 수천억원 규모로 추산됐던 발주물량이 기근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다 통신망 사용 등 기존 법·제도 등의 부조화로 사업추진에 탄력성을 잃고 있기 때문이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U시티와 관련해 최대 발주처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지난 상반기 평택 소사벌지구 등 모두 8건의 U시티 사업의 발주를 추진했으나, 인천청라와 아산배장 등 단 2개 사업만 발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8월 초 투입된 예산도 761억원 규모에 그쳐 목표액의 절반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택경기가 극심한 침체를 겪고 있는데다 부채 등 LH 내부적인 재정불안 문제 등이 겹치면서 대다수의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올 하반기 발주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평택 소사벌 및 화성 향남2지구 등 9건의 상당수 U시티 사업도 발주가 내년 이후로 미뤄질 전망이다.

 

지방자치단체 사업으로는 지난해 수원 호매실지구 U시티 구축사업과 올해 서울 이외에는 이렇다할 발주 물량이 없는 실정이다.

 

더구나 발주처 입장에서 미분양, 미입주 등으로 인해 신도시 조성사업이 차질을 빚으면서 U시티 구축을 서두를 수 만은 없는 입장이다.

 

특히 극심한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국토해양부 등 발주기관들이 사실상 사업추진 동력 및 의지를 상실한 것도 한몫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부에서는 U시티 사업이 분양가를 상승시켰고 이에 따라 미분양이 더 늘어났다는 주장마저 나오고 있어 관련 업계를 울상짓게 하고 있다.

 

U시티 관련 업계 관계자는 “수천억원에서 수조원이 투입되는 신도시 조성사업에서 U시티 사업은 고작 몇 백억원 규모에 지나지 않는다”며 “U시티 사업을 미분양의 원인으로 지목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와 연결짓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또 “U시티 사업이 천대를 받는다면 새로운 기술 발전도 기대할 수 없다”며 “결국 U시티 건설은 허울 뿐인 부가서비스로 전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