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부족 등 이유로 성능 좋아도 꺼려… 中企 “우선구매 제도적 장치 마련을”
공공기관들이 녹색성장 친환경 중소기업 제품 구매를 외면하면서 친환경 제품을 개발한 도내 중소기업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중소기업들이 개발한 친환경 제품에 대해 공공기관들이 예산부족 등을 이유로 구매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도내 중소기업들에 따르면 정부가 지자체 등의 중소기업 제품 공공구매를 권장하고 있으나 경쟁제품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이유 등으로 중소기업 제품구매에 소극적이다.
실제 안산의 전자부품업체 W사는 5년간의 연구개발 노력으로 인공지능 자동절전 콘센트를 개발했다.
이 제품은 대기전력이 낮고 사용중 50% 가량의 절전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을 인정받아 우수기술제품으로 조달청에 등록되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공공기관들은 W사 제품 구매를 외면했다.
W사는 각종 인증 획득을 통해 자사 제품의 우수성을 확인한 뒤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을 상대로 자사 제품을 우선구매해 달라고 적극적으로 홍보했지만 공공기관 납품에 잇따라 실패했다.
지자체들이 예산부족 등을 이유로 소모품으로 분류된 콘센트 제품 구매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또 제품 가격이 일반 콘센트에 비해 바싸다는 점도 걸림돌이 됐다.
화성의 친환경 건축용 내장재를 생산하는 S사는 공공공사에 성능인증제품을 납품하려했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이유로 납품에 실패하는 등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W사 관계자는 “정부가 친환경 녹생성장을 강조하면서도 정작 중소기업들이 개발한 친환경 제품 구매에는 적극나서지 않고 있다”며 “공공기관들이 친환경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강화되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2008년 공공기관 친환경상품 구매실적을 분석한 결과, 중앙부처는 2007년에 비해 평균 23.4%p, 지방정부와 교육청은 각각 15.7%p와 20.5%p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