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정보 유출·평가위원 선정 비리 의혹 등 백재현 의원 “비리유무 철저히 조사를” 주장
4대강 사업 입찰과정에서의 내부정보 유출, 턴키담합, 평가위원 선정 비리 의혹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민주당 백재현 의원(광명갑)은 31일 보도자료를 통해 “4대강 16개 보의 턴키 입찰 채점결과표와 평가위원들을 분석한 결과, 대형 건설사들의 밀실 담합과 사업 나눠먹기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각 공구별 채점표를 분석한 결과, 도급순위 1위에서 5위인 현대, 삼성, 대우, GS, 대림 등에 SK가 추가돼 나눠먹기를 하고 있는 것이 그대로 드러났다는게 백 의원의 설명이다.
한강 3공구의 경우, 삼성물산이 아닌 삼성중공업이 대림산업과 입찰에 참여했는데 삼성중공업은 애초부터 턴키에서 대림산업을 이길 수 없는 회사였고, 원래 턴키가 1~2점 차이 나는 것이 대부분인데 무려 11.4점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강 4공구도 1위 삼성물산과 2위 두산건설과의 점수차이가 9.9점, 한강 6공구도 1위 현대건설과 2위 SK건설이 9.5점, 금강 6공구도 1위 GS건설과 2위 현대산업개발간 10.25점, 낙동강 18공구도 1위 GS건설과 삼성엔지니어링간 8점 등 전 구간이 10점 안팎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금강 7공구는 1위인 SK건설과 3위인 현재건설의 점수 차가 무려 13점 이상인 반면 한강 6공구는 현대건설이 SK건설을 4점 차로 앞서 업체들이 사전에 맞춰진 각본대로 나눠먹기를 한 것이라고 백 의원은 주장했다.
또 국토해양부는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개정 전인 지난해 9월에 이미 3천명에 달하던 턴키공사 심의위원을 120명으로 줄이고, 공정성을 위해 입찰참가업체가 추첨으로 심사위원을 선정하던 방식을 4대강 턴키입찰부터는 사업발주처가 직접 선정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변경했다.
사례를 보면 한강 3·4공구의 경우, 12명의 평가위원 중 4명이 국토부, 2명이 수자원공사 소속이고, 도로공사, 국토연구원, 건설기술연구원도 3명을 차지했다.
반면 민간은 3명(교수)에 그쳤다. 또 한강, 금강, 영산강 공구에서는 도로공사, 토지공사, 시설안전공단 관계자까지 평가위원에 포함시키고 있다.
백 의원은 “4대강 사업에 대한 검찰조사와 강도 높은 감사원 감사를 통해 각종 비리유무를 철저히 조사하고 결과에 따른 책임을 물어야 한다”면서 “정부는 4대강 사업을 즉각 중단하고 원점에서 전면 재검토해야한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