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비 58억 내년 예산 반영 안돼… 입주자들과 갈등 지속될 듯
호화청사 논란을 빚어던 경기도청사의 광교신도시 내 신축 이전 여부가 올해 안에 확정될 전망이다.
하지만 신청사 건립 시기는 재정사정으로 인한 예산 미편성으로 상당기간 늦어질 예정이어서 광교신도시 입주자들과의 갈등은 계속될 전망이다.
도는 2일 “도 신청사 이전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가 오늘부터 가동됐다”며 “도는 TF의 검토보고서를 토대로 청사의 이전 여부와 시기 등을 올해 안에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TF는 앞으로 1~2주내에 도청사 신축 이전 여부와 함께 이전할 경우 시기 및 청사 규모, 추진 전략, 재원 마련 방안 등에 대한 종합 검토보고서를 작성할 예정이다.
도는 이 보고서를 김문수 경기지사에게 보고한 뒤 공청회 또는 간담회 등을 통해 도의 방침을 최종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도는 공모를 통해 지난해 11월 선정된 신청사 디자인 설계 작품에 대해 도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수정 요구가 많을 경우 이를 설계에 적극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도가 청사 신축 이전 방침을 확정해 계획대로 추진할 경우 광교신도시내 신청사는 실시설계와 행정절차, 3년 간의 공사기간 등을 거쳐 당초보다 1~2년 늦어진 2015년 또는 2016년께 입주가 가능할 전망이다.
하지만 도의회가 건설본부가 요청한 신청사 설계비 58억원을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하지 않아 건립 시기는 더욱 늦어질 수도 있다.
이에 광교신도시 입주자 총연합회는 지난달 29일 도청사 이전을 촉구하는 서명서(5천500명 서명)를 도에 전달하는 한편 도 청사 이전 지연시 김 지사의 소환도 불사하겠다고 경고, 마찰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도의 기본 입장은 대도민 약속을 지키는 차원에서 도청사를 광교신도시로 이전한다는 것”이라며 “도의 방침이 이전으로 확정되면 최대한 신속하고도 차질없이 이전 사업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 광교신도시를 조성하면서 신도시내 8만8천235㎡ 부지에 4천930억원(부지매입비 2천100억원)을 들여 2014년 말까지 연면적 9만8천㎡(도청사 6만2천100㎡, 도의회 청사 1만8천100㎡, 주차장 1만7천800㎡) 규모의 청사를 신축 이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