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수돗물 불소화’ 찬·반 논란 재점화

송시장 공약사업… 시민·환경단체 마찰 예고

인천시가 수년 동안 진전 없이 논쟁만 지속됐던 수돗물 불소화사업을 다시 추진키로 해 찬·반 논란 재점화가 예고되고 있다.

 

7일 시에 따르면 내년 예산에 충치 예방을 목적으로 상수도에 불소를 첨가하는 수돗물 불소화사업 도입을 위한 시민 토론회 개최 및 설문조사비용 등 9천500만원을 반영했다.

 

시는 수돗물 불소화사업이 송영길 시장의 공약사항인데다, 보건복지부가 충치 등 치아우식증 예방에 효과가 있다며 지자체에 사업 실시를 권고, 국비 70%를 보조해주는만큼 이번엔 시행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 1995년부터 불거진 수돗물 불소화사업과 관련해 타당성 용역과 토론회, 설문조사 등이 수차례 반복됐지만 찬·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현재까지 도입여부조차 결정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우선 올해 찬·반 단체 및 구강보건사업자문위원회 간담회 등을 통해 전체 의견을 듣고, 남동 및 부평정수장 중 시범 정수장 1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시는 내년 상반기 중 전문 여론조사 기관에 의뢰, 여론을 조사하고 해당 시범정수장 통·반장 및 시민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여는 한편, 구강 실태조사도 병행한다.

 

이때문에 찬·반 논란이 재점화될 전망이다.

 

인천불소시민모임 등은 수돗물 불소화사업이 인체에 안전하고 저렴한 비용(연간 1인당 200~300원)으로 높은 충치예방효과(40~60%)를 거둘 수 있는만큼 시민들의 구강 보호를 위한 필수적이라는 입장이다.

 

반면, 일부 환경단체들은 국내 전체 정수장 520곳 가운데 27곳(5.2%)만 수돗물 불소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다 대전이나 청주 등 16곳은 중단한만큼, 안정성 검증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인천의 12세 이하 아동충치 보유수가 5.1개로 전국 평균 3.25개보다 높고 수돗물 불소화사업은 세계 60개국에서 시행 중인만큼, 도입에 따른 긍정적 효과가 높다고 본다”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