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U-City 사업’ 구도심 보류

‘재정난’ 등 이유 개발용역 1~2년 늦춰… 신·구도심간 주민갈등 우려

인천시가 유비쿼터스(U-City) 사업을 구도심을 포함한 전역으로 확산하기 위한 용역을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보류, 구도심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8일 시에 따르면 ‘U-Incheon 정보화 마스터플랜’에 의해 6억6천만원을 들여 내년부터 오는 2013년까지 구도심을 포함한 전역을 대상으로 한 U-City의 밑그림 격인 U-City도시계획 수립용역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시는 지역 내 구도심 개발사업 등이 잇따라 지연되는데다 재정이 악화됐다는 이유로 이 용역을 구도심 개발사업이 진행되는 추이를 감안, 1~2년 늦추기로 했다.

 

용역이 늦춰지면 기존 구도심 개발사업과 함께 구축될 U-City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U-City계획이 없는 셈이어서 한동안 U-City 관련 사업은 중단된다.

 

이 때문에 시가 구도심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재 신도시 위주로만 U-City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 용역마저 늦어질 경우 신·구도심 주민들간 정보의 격차만 커져 지역 갈등이 발생되고, 재난·재해 안전시스템인 유세이프티(U-Safety) 통합시스템 등은 구도심 주민들에게는 더 절실하기 때문이다.

 

국토해양부의 U-City 시범사업(국비 15억원)에 송도국제도시가 선정될 때 U-City도시계획 수립이 의무 조건이어서, 향후 정부의 각종 시범사업에 대한 불이익도 우려되고 있다.

 

특히 당장 오는 2012년부터 보상을 마치고 본 궤도에 오르는 검단신도시나 루원시티(Lu1 City) 등에도 U-City 기술이 적용되는만큼, 2년여가 걸리는 용역의 특성상 당장 내년부터 용역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김정훈 영남대 교수는 “이미 서울시와 경기도, 강원도 강릉시 등은 도시기본계획과 U-City도시계획을 함께 수립·수정하며 신·구도심 균형 발전을 꾀하고 있다”며 “송도국제도시를 비롯해 청라·영종 등 신도시와 구도심에 U-City환경이 연계·호환되기 위해선 U-City도시계획 수립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