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의한 이슈들 ‘최종 승인’ 남아… 전 세계 시선집중
12일 발표되는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 선언에는 금융안전망·개발이슈 등 ‘코리아 이니셔티브’(Korea Initiative)가 나올 전망이다.
서울선언에는 의장국인 한국이 제의한 이슈들로 글로벌 금융안전망과 개발 의제 2가지가 포함됐다. 2가지 의제 모두 G20 재무차관 및 셰르파(교섭대표) 회의에서 이견이 거의 없어 경주 재무장관회의에서 결정된 내용 그대로 ‘서울 선언’에 담기 위해 정상들의 최종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한국이 주도해온 글로벌 금융안전망(GFSN) 구축은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한국 입장에서 가장 절실한 의제로 많은 신흥국들로부터 공감을 얻어 왔다.
이 의제는 경제적 펀더멘털이 좋은 국가들이 일시적인 유동성 문제로 국가부도 사태에 빠지는 것을 막자는 취지다. 이는 미국, 유럽 등에서 발생한 금융위기의 여파로 신흥국들이 타격을 받는 상황을 재연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만들자는 것으로 의미가 매우 크다.
우리나라의 노력으로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8월 탄력대출제도(FCL)를 개선하고 예방대출제도(PCL)를 신규 도입키로 했다.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은 금융위기를 겪은 뒤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위기 조짐이 보였을 때 미리 대출을 하자는 것이 핵심이다. 각국 정상들은 서울 회의에서 이 같은 개선안을 최종 승인하게 된다.
무엇보다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금융안전망 발전 논의가 지속될 것이란 점도 의미가 있다.
G20은 가칭 ‘글로벌안정메카니즘’(GSM)을 구축하는 것을 비롯,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 등 지역 금융안전망과 IMF 대출제도를 연계하는 방안 등 보다 발전적인 논의를 계속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내년 프랑스 G20 정상회의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 논의를 주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개발의제는 개도국에 대한 지원방식을 구체화해 G20 차원에서 ‘행동계획’을 마련하기로 한 것이다.
G20은 지난달 경주 재무장관 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추진해 온 다년간 행동계획에 대한 기대감을 표시하고 공적개발원조를 강화하는데 합의했다.
정부는 선진국과 일부 신흥국들만이 참여하는 G20 체제에서 소외된 대다수 개도국에게 이번 회의에서 개발 의제의 구체적인 성과물이 나올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G20 회원국들로부터 사회간접자본, 인적자원개발, 지식공유사업 등 9개 분야에 대한 개발 의제와 관련한 계획안을 제출 받아 ‘다년간 행동계획’을 확정한 뒤 이를 서울 정상회의에 제출해 G20의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정부는 9개의 핵심 의제를 담은 다년간 액션 플랜을 ‘서울 선언’의 부속문서로 포함시켜 재정, 통화, 인프라, 교육 등 다양한 성장 지원계획을 명시할 예정이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