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들 특별법 마련 촉구… 장례 논의 장기화 조짐
민간인 2명이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희생된지 5일이 지났지만 장례일정조차 잡지 못해 유족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유족들은 “의사자 예우를 해줄 것”을 요구하는 반면, 정부 측은 “이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장례 논의가 장기화될 전망이다.
유족 대표는 “해병대 관사를 신축하다 피격된 고인들에게 의사자 예우나 이에 준하는 특별법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유족 대표는 “행정안정부가 민간인 희생자들의 사고 직전 소득수준과 연령 등을 토대로 보상금을 지급하겠다(호프만식 계산법)는 건 수용할 수 없다”며 “정부가 먼저 보상문제를 밝히기 이전에는 장례를 치룰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행정안전부의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호프만식 계산법은 검토(안)일 뿐이고, 아직까지 정부가 뚜렷한 보상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의사자로 지정되기 위해선 유족이 보건복지부에 의사자를 신청해야 하지만 유족들은 정부가 주도, 의사자로 지정해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난감하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이날 연평도 주민들에게 주거비와 연료비 등 가구당 150만원씩 지급하고 옹진군은 자동차세나 선박 등의 취득세의 납부기한을 연기해 주기로 했다. 허현범기자 powervoic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