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구제역 확산에 10㎞ 방역 확대 등 비상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확산양상을 보이면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의 국가 주요 종축(정액)과 시험연구용 가축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6일 국립축산과학원에 따르면 본원과 산하 연구시설 5곳에서는 국가가축유전자원 보호차원에서 종우(씨소)와 종돈(씨돼지) 등 6종 모두 4천959마리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이들 시설 반경 10㎞ 이내에 3천315농가에서 43만7천여마리를 사육하고 있으며, 만약 해당 지역 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하면 국가 주요 종축과 시험연구용 가축까지 모두 살처분해야 하는 사태가 빚어질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만 사육되는 고유 품종인 한우의 경우 정액을 공급하는 종축사업은 물론 한우개량을 위한 각종 연구사업마저 어려워 자칫 한우산업이 붕괴될 우려마저 있다.
이에 국립축산과학원은 수원(본원)과 함께 충남 성환(축산자원개발부), 강원 대관령(한우시험장), 전남 남원(가축유전자원시험장), 제주(난지축산시험장) 등 5곳의 시설에 대해 구제역 특별상황실을 설치하고 방역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해당 시설에서는 축산농가로의 출장이 전면 금지됐고 정문외 출입문 폐쇄, 외부인 출입금지, 대인·차량소독 강화 등 차단방역을 하고 있다.
또 한우, 젖소, 돼지 등 종축을 축산원과 농협, 지자체 등에 분산 사육하고 종돈 동결정액, 형질전환돼지 동결정액, 형질전환돼지 체세포 등 유전자원도 분산 배치했다.
이와 함께 반경 3㎞ 이내를 대상으로 하던 상시방역을 지난달 29일 이후 축산원과 연구시설 반경 10㎞로 확대, 철저한 방역과 함께 예찰활동을 벌이고 있다.
농진청 관계자는 “구제역으로부터 국가 축산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종축과 유전자원의 분산사육 및 배치는 물론 반경 10㎞이내 지역 축산농가를 집중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