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안 강행처리 후폭풍… “야당과 대화·타협 부족” 지적
한나라당내에서 예산 강행처리 후폭풍과 관련, 추가 인책론이 제기되고 있다.
고흥길 정책위의장(성남 분당갑)이 책임을 지고 사퇴했음에도 불구하고 당 일각에서는 안상수 대표(의왕·과천) 등 지도부에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으나 김무성 원내대표와 이재오 특임장관의 책임론에 더욱 무게가 실리는 모습이다.
한나라당은 14일 예정됐던 원내대책회의를 취소했으나 추가 인책 요구는 일부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한 수도권 의원은 안 대표의 ‘보온병 논란’을 거론하며 “현 지도부가 물러나는게 좋겠다는 생각”이라며 사실상 ‘안 대표 퇴진론’을 주장했다.
그러나 다른 의원은 “안 대표의 지도력은 야당 원내대표에 이어 여당 원내대표 시절에 이미 입증됐다”면서 “책임의 중심은 김 원내대표와 이 장관에게 있기 때문에 두 사람이 당연히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번 예산안 처리의 문제점은 강행처리를 하기 전 야당과 충분한 대화와 타협을 시도했느냐가 관건인데, 한 민주당의 한 도내 의원은 이날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에는 야당과 전혀 대화와 타협을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예산안을 처리한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안 대표가 원내대표를 맡았던 지난해, 예산안 처리를 놓고 야당의 반발이 있었지만 올해처럼 큰 문제가 되지 않았던 것은 그만큼 당시 야당에게 충분한 시간을 줬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해 예산처리 파동의 1차 책임은 원내 사령탑인 김 원내대표에게 있음에도 화살은 오히려 안 대표에게 쏠리는 양상이다.
이와 관련 이군현 원내 수석부대표는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당 대표를 흔들기보다 호시우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당·청 관계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가교역할을 해야 할 이 장관의 책임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번 예산안 강행처리를 놓고 민주당은 이 장관에게 연일 비난의 화살을 날리고 있다.
예산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던 지난 8일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가 이 장관 자리로 찾아가 강력 항의했던 것도 이 장관의 책임론에 무게를 실어준다.
한 의원은 “이 대통령이 예산안 처리시한을 못박은 것도 문제이지만 이 장관이 청와대와 당의 가교역할을 하지 않고 청와대의 뜻을 일방적으로 당에 전달하는 역할만 하지 않았는지 의문이 든다”고 비판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