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사무실 지원·바이어 발굴 시장 개척 초창기 리스크 줄여 뉴욕·두바이 등 입주기업 모집
중소기업이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현지법인이나 지사를 설치하려면 비용부담이 만만치 않다.
이같은 비용을 절반이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다름 아닌 정부가 해외 현지에 진출하는 중소기업의 조기정착과 수출경쟁력 배양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수출인큐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15일 중소기업진흥공단에 따르면 수출인큐베이터는 중소기업이 독자적으로 해외에 진출할 때 생기는 초기 위험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한 사무공간으로 현재 미국(뉴욕, 시카고, 워싱턴, LA), 브라질(상파울루), 독일(프랑크푸르트), 일본(도쿄), 중국(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칭다오), 베트남(호치민), 싱가포르, 러시아(모스크바), UAE(두바이), 인도(뉴델리), 멕시코(멕시코시티) 등 전세계 17개 교역거점에 설치돼 운영 중이다.
입주한 기업들은 저렴한 비용(임차료의 80% 정부지원, 2차년도는 50%)으로 사무공간을 이용할 수 있고 현지 조기정착 지원, 바이어 및 시장정보 제공, 컨설팅 및 상담, 현지 네트워크 지원 등 입주기업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입주신청은 중소제조업(제조업 전업률 30% 이상) 또는 지식서비스업(정보통신서비스, 소프트웨어 등)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으로 신청 시 활동계획과 제품의 시장성, 기술경쟁력 등 평가기준에 따라 선정한다.
중소기업진흥공단 관계자는 “수출인큐베이터 입주 기업들은 입주 전에 비해 신규 바이어 발굴 건수가 95%, 수출액은 약 40% 증가했다”며 “정부에서 지원하는 공간에 입주해 있다는 것만으로도 해외 바이어들에게 신뢰를 준다”고 설명했다.
한편 중진공은 현재 수출인큐베이터가 설치된 지역 중 입주가능한 공간이 없는 지역을 제외하고 뉴욕, 프랑크푸르트, 상파울로, 두바이, 싱가포르 등에 입주할 기업을 선착순으로 모집하고 있다. 입주 신청은 수출인큐베이터 홈페이지(www.sbc-kbdc.com)에서 접수하면 된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