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구 청소행정 ‘예산낭비’ 논란

쓰레기 처리비용 年 110억 수의계약… 입찰 전환 지적

심각한 재정난에 처해 있는 인천 부평구가 연간 110억원을 들여 생활쓰레기 등의 수집·운반을 수의계약으로 처리하고 있어 예산 낭비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20일 구에 따르면 생활쓰레기·음식물·재활용품 등 생활쓰레기 수집·운반과 관련, 경쟁입찰방식이 아닌 수의계약으로 민간청소업체에 위탁, 연간 110억원을 지출하고 있다.

 

환경부는 특정 업체들의 장기간 독점 운영을 예방하기 위해 민간 생활폐기물 청소업체의 영업구역을 현행 시·구·구에서 광역시ㆍ도 단위로 변경토록 했으며, 경쟁입찰방식을 도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구는 쓰레기 분리 수거의 경우, 경쟁입찰방식을 통해 1곳에 위탁하고 있지만 나머지 생활쓰레기와 재활용쓰레기 수집·운반 등은 7곳에 수의계약으로 위탁, 매년 100억원이 넘는 예산이 쓰레기 처리비용으로 민간업체에 들어가고 있다.

 

이때문에 다른 지자체와 마찬가지로 경쟁입찰방식을 도입, 쓰레기 처리비용을 절감하고 비정상적인 수의계약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후종 구의원은 “예산 수천만원이 없어 사회복지서비스도 제대로 운영하지 못하고 있는 구의 여건을 감안한다면 독립채산제나 경쟁입찰방식 등을 통해 청소단가를 낮춰 예산 낭비를 막아야 한다”며 “다른 지자체는 경쟁입찰방식을 통해 수십억원을 절약한 사례가 있는만큼, 홍미영 구청장이 의지를 갖고 청소대행 계약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구 관계자는 “쓰레기 처리의 경우 1곳을 제외한 나머지 업체들은 수의계약으로 위탁,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며 “일부 구도 수의계약으로 위탁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