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추모공원 사업 대상지를 선정해 놓고 홍역을 앓고 있다. 시는 지난 15일 추진위원들의 심사를 거쳐 추모공원 대상지역을 상록구 양산동 ‘안양공원묘지’ 인근으로 선정했다. ‘추모공원’은 좋은 의미로 불리우는 이름이지만 해당지역 주민들에게는 단지 ‘망자’를 마지막으로 ‘이승’에서 ‘저승’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밖에 볼 수 없는게 현실이다. 이에따라 추모공원으로 선정된 지역주민들은 ‘무효’를 주장하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고 이를 바라보는 타 지역 주민들은 ‘남의 일’ 정도로 여기며 별다른 반응을 나타내지 않고 있는 속내가 배어 있다.
지난 2007년 개정 공포된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은 급격히 증가하는 ‘화장’에 대한 수요대비와 화장시설에 대한 인식변화 등을 골자로 각 지자체가 지역주민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화장시설을 갖추도록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장례문화가 ‘매장’에서 ‘화장’중심으로 바뀌는 시점에서 안산시가 추진하는 추모공원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돼가고 있다. 다만 지역에 대한 선택의 문제가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안산시가 추모공원 사업 대상지를 선정하면서 나름 공정한 과정을 거쳤다고는 하지만 좀더 신중하게 선정과정을 공개하고 주민들을 충분히 설득했어야 했다는 지적은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 아직은 추모공원이 우리 모두가 공감하는 ‘혐오(?)’ 시설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치권이 지역주민의 입장을 대변한다며 앞장서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그들이 진정 주민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행동을 한다면 다행한 일이지만 만일 그들의 행동과 목소리에 정치적인 노림수가 개입돼 있다면 이는 지정 울분을 토하고 있는 해당지역 주민들을 우롱하는 처사로 훗날 심판을 받을 수도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지금 양상동 주민들은 시가 제공하겠다는 ‘지원 약속’에도 불구하고 ‘NO’를 주장하고 있다. 시도 그들의 목소리에 좀더 귀를 기울여 깊이있는 행정을 펼쳐야 하겠지만 정치권은 ‘표(?)’에 대한 사심을 배제하고 진정어린 마음으로 주민들의 입장을 대변해야 할 것이다.
구재원 안산 주재 차장 kjwoon@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