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연평도 민간인에 무차별 포격···6·25 이후 최대 무력공격
북한군이 지나 해 11월23일 오후 2시34분께부터 1시간 가량 황해도 강령군 개머리 해안포 기지 및 무도 기지에서 연평도로 수십 발 이상의 해안포와 곡사포(장사정포)를 발사하는 전례 없는 도발을 감행했다.
이로인해 해병대 병사 2명이 숨지고 장병 16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특히 민간인 2명이 사망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6·25 전쟁 이후 북한이 우리 영토의 민간인 주거지역을 향해 대규모로 포격을 가하는 도발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군 합동참모본부는“오전 10시가 조금 넘어 우리 군이 호국훈련의 일환으로 해상사격 훈련을 서해 남쪽으로 실시하던 중 북한이 수십 발의 해안포를 발사했고 수발은 연평도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앞서 북측은 이날 오전 8시20분 우리측에 “남측이 북측 영해로 포사격을 하면 좌시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전통문을 발송했지만 정부는 “단속훈련”이라며 “훈련을 계속하겠다”고 답변, 대수롭지 않은 일상적인 공격이라 치부해 피해를 더욱 키웠다는 지적을 면치 못하게 됐다.
결국 김태영 국방장관이 사임하고 신임 국방장관에 김관진 전 합참의장이 선임되는 등 군의 기강을 바로잡으려는 청와대의 강력한 주문이 이어졌다.
이날 우리 군은 교전수칙에 따라 북한군 진지를 향해 K-9 자주포 80여발을 발사하며 대응, 1시간 가량 남북 간 교전이 벌어졌다.
공군 전투기도 출격해 추가도발에 대비했으며, 서해 5도 지역에 국지도발 최고 대비태세인 ‘진돗개 하나’를 발령하고 대북 감시 태세인 ‘위치콘’을 3단계에서 2단계로 한 단계 격상했으며 전군에 경계 태세를 강화했다.
포격사건으로 민가 11곳이 화염으로 전소, 9곳이 반소되는 등 아비규환의 상황속에서 1천200여명의 연평도 마을 주민들은 이날 방공호로 긴급 대피하거나 인천항으로 대피하는 피난행렬에 몸을 실었다.
한편 북한의 연평도 무력도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초기 대응 방식에 대해 ‘늑장 대응’ 논란이 언론과 국민들을 통해 끊임없이 제기됐다.
국회 국방위원회는 북한 포격 이튿날인 24일 전체회의에서 북한 도발이후 13분 후에야 공격을 감행한 늦장 대응과 이명박 대통령의 ‘확전 방지’ 발언을 놓고 군의 대응태세를 질타했다.
전쟁발발에 대한 우려감으로 국민들의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한 28일 서해 남쪽 해상에서 대규모 한미연합훈련을 실시, 북한의 포격도발 징후가 일시 포착되는 등 일촉즉발의 긴장감이 팽배했다.
서해 한미연합훈련은 미국의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호 등 양국의 최정예 함정 10척이 참가하고 예정보다 강도높은 훈련이 이뤄졌다.
이날 오전 11시20분께 인천 연평도 주민들을 대상으로 북한의 방사포 발사 가능성을 경고하는 군 당국의 지시에 따라 긴급 대피하는 등 북한의 추가 도발 징후에 주민들은 또한번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29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을 ‘민간인을 공격한 반인륜적 범죄’로 규정하고, “앞으로 북의 도발에는 반드시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할것”이라고 밝혔다.
외신 또한 연평도 사건을 긴급속보로 타전, 북한의 도발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연일 연평도 사건에 대해 보도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였다.
특히 북한이 2011년 12월내에 경기도를 공격할 것이라는 외신보도가 나오면서 김문수 경기지사가 군부대를 방문, 협조 방안을 논의하는 등 긴급대응에 나서기도 했다.
한편, 인천시와 연평주민비상대책위는 12월 7일 오후 생활안정지원금으로 만 18세 이상의 성인에게 150만원씩을 2회 분할해 300만원을 지급하고, 18세 미만자에 대해서는 75만원씩을 2회 분할해 150만원을 지급하기로 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공동 합의문을 작성해 발표하는 등 안정 대책이 활발히 마련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