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경 무궁화전자 대표
작업용 점퍼를 입고 나타난 김동경(57) 무궁화전자 대표이사는 작은 체구에 부드러운 인상을 지니고 있었다.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장애인 전용 공장인 무궁화전자를 이끌어 나가고 있는 그의 눈빛과 인터뷰 내내 사원들을 ‘아이들’이라고 부르는 말투에서 장애인들을 대하는 따뜻한 애정이 느껴졌다.
그는 “외부에서 지자체든 기업이든 장애인 전용 공장을 설립하려는 의지가 있으면 언제든 도와주기 위해 10~20년 가까이 축적된 노하우를 전달해 줄 수 있다”고 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전용 공장 및 시설의 확충의지를 보였다.
김 대표가 몸담고 있는 무궁화전자는 지난 1994년 삼성전자가 장애인 복지 증진 차원에서 장애인 전용 공장을 세우기로 결정하고 234억원을 투자해 설립된 회사다.
현재 전체 180명 직원 중 장애인이 130명으로 장애인 전용 공장으로서는 국내 최대 규모이고, 해외에서도 단일회사로서 이 정도 규모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의 최초의 사회적 기업이라 할 수 있는 곳이다.
그는 “지금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편견이 많이 개선됐다. 그러나 초창기에는 장애인이 회사에서 만들면 품질에 문제가 있진 않을지, 납기를 지킬 수 있을지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런 편견들을 이겨내는게 부임 초기의 최우선 과제였다”며 장애인 전용 공장을 운영하면서 느낀 어려움을 회상했다.
무궁화전자는 일반 기업들에 비해 복지혜택이 많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1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숙사에는 현재 70여명의 직원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기숙사 내에 노래방, 동호회, 체력단련실 등 가능하면 기숙사 내에서 취미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설들을 지원하고 있다.
김 대표는 기업인답게 우선은 회사가 성장해야 한다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일정 수준의 매출 신장이 따라와야 하는데 자체적으로 해외진출 등은 힘들지만 국내 시장을 더욱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기술개발과 조금이라도 이익이 나면 복지에 재투자하겠다는 것이다.
또 초창기에 입사한 1기생들이 5년 후에는 40대 진입하는데, 비장애인들에 비해 노동능력이 5년 정도 차이나는 장애인들의 작업능력 떨어지면 어떻게 할 것인지가 앞으로 무궁화전자가 풀어야 할 숙제라고 생각하고 있다.
식구로 있던 사람들은 끝까지 책임지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이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줄이고 일의 내용 분리하는 등 끝까지 함께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무궁화전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느끼고 있다.
김 대표이사는 “간혹 ‘사장님 덕분에 일을 더 많이 하게 돼 고맙다’고 말하는 직원들이 있는데, 오히려 본인 스스로는 무궁화전자를 통해 개인적인 생활이 더욱 보람차고 윤택해져서 사원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며 “회사가 계속 성장 발전해 사원들의 불편함이 없도록 노력할테니 사원들도 몸은 다소 불편하지만 절대 사기저하되지 말고 자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더불어 “장애인들이 사회에 나와 일을 통해 보람 찾도록 여건을 만들어 주는게 중요한데, 독자적인 힘이 안된다면 지원을 받아서라도 장애인 전용시설 등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수원시민 등 독자 여러분들도 관내에 훌륭한 장애인 전용시설이 있다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