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항원검사·정밀진단 등 업무 과부하… 동시 다발적 발생 대처 역부족
경기북부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도 전역을 휩쓸고 있는 가운데 도내 구제역 관련 전문가는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5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따르면 현재 검역원 내 구제역 관련부서는 해외전염병과 구제역연구실로 구제역 혈청 예찰 검사 및 정밀진단, 구제역 감별진단 기술 개발 및 개량연구, 국제공동연구 및 산업체 공동연구 수행, 구제역 백신비축 및 관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또 현행 ‘구제역 방역 시행요령’은 구제역에 감염(의심) 가축에 대한 검사시료 채취 등 제반 업무는 검역원의 고유 권한으로 규정, 전국에서 구제역 전문가와 관련 차폐실험실 등은 수의과학검역원에만 설치돼 있다.
하지만 검역원 구제역연구실에 소속된 연구인력은 3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3명의 인력이 구제역 연구, 항원검사 및 정밀진단, 차폐연구실 운영에서부터 국제공동연구 및 산업체 공동연구 수행, 구제역 백신비축까지 모든 구제역 관련 업무를 도맡고 있다.
또 검역원은 구제역 발생시 기관내 전문인력을 총동원해 구제역종합상황실을 꾸려 방역지도반을 파견하고 감염의심 가축에 대한 병상감정과 역학조사 등에 나서고 있지만 수의직 및 연구직 등을 모두 합쳐도 440여명에 불과해 전국에 걸쳐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구제역 대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구제역 예방을 위한 연구나 다른 기관과의 협조 등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도 상황은 마찬가지로 방역관과 축산물 검사관 등 수의사 인력이 100여명이지만 이중 구제역 전문가는 전무하며, 구제역 검사기능도 없다.
더욱이 구제역 발생으로 축산물 검사에 필요한 최소인원을 제외한 모든 인력이 방역작업에 매달리고 있어 장기적인 구제역 대책을 위해서는 자체내 전문인력 확보 등이 시급하다.
검역원 관계자는 “구제역 전문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으로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문 인력을 대폭 보강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 수도권과 호남권, 영남권에 각각 거점 방역지원센터를 건립하는 안을 내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박성훈기자 pshoon@ekgib.com
지자체, 살처분 인력 확보 ‘발동동’
인력시장서 하루 20~30명 고용해도 확산속도 빨라 감당 못해
구제역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파주, 김포, 연천 등 경기북부지역 지자체들이 살처분 작업에 투입할 인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등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한 인력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5일 파주시 등 경기북부지역 지자체들에 따르면 구제역 확산으로 인해 소·돼지의 살처분이 늘면서 파주·김포·연천 등 지자체들마다 극심한 인력부족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파주시 등 지자체들은 경기도에 추가인력을 요청하는 것 이외에도 예비비까지 마련해 별도의 인부들을 고용하고 있지만 인력부족 현상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파주시는 지난달 22일부터 모두 3차례에 걸쳐 경기도로부터 160여명을 지원받는 한편 매일 인력시장에서 20~30명씩을 고용하고 있다.
하지만 인원부족으로 공무원들이 식사를 제때 하지 못하는 등의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또 연천군과 김포시 등도 도에서 150명씩의 인원을 지원받는 것 이외에도 지난달 22일부터 매일 각각 20여명과 10여명씩을 고용하고 있지만 밀려드는 업무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북부지역 지자체들에서 극심한 인력현상이 빚어지는 것은 구제역의 확산속도가 워낙 빠른데다 전염성이 강한 구제역의 특성상 지원받은 군부대 병력을 살처분 현장에 직접 투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에 이들 지자체 공무원의 40% 가량이 살처분 작업에 투입되기 어려운 여성이라는 점도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파주시 관계자는 “공무원들 모두 휴식도 제대로 취하지 않은 채 정신없이 움직이고 있지만 밀려드는 업무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특히 육체적인 힘이 요구되는 살처분 현장의 경우 인력난이 더욱 심각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가용인력을 투입하고 있지만 지자체에서 원하는 인력을 모두 지원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