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의료·보육·택배 등 기업 유치… 입주민에 일자리·복지서비스 제공
앞으로 조성되는 보금자리주택지구에 의료, 보육·교육, 택배 등 입주민에게 복지 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이 들어선다.
국토해양부는 9일 “보금자리주택지구 내 통합 부대복리 시설이나 사회복지관에 사회적 기업을 유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또 “이를 위해 3월 중에 설치 기준을 마련 하고 업무처리 지침 개정 절차를 거쳐 시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이번 지침 개정을 통해 부대복리 시설의 용도에 사회적 기업 운영을 추가하는 한편 소규모 단지를 묶은 통합 부대복리 시설이나 대규모 국민임대주택 단지에 들어갈 사회적 기업의 입주 규모 등을 명시할 예정이다.
또 지구 계획 단계부터 입주 기업의 유형 및 입주 공간을 반영키로 했다.
하남감북 등 4차 지구와 조만간 발표할 5차 지구에서는 사회적 기업의입주 공간으로 통합 부대복리 시설을 쓸 수 있도록 지구계획에 반영하고, 이미 사업승인이 이뤄진 1~3차 지구에선 사회복지관 시설 일부를 활용토록 할 방침이다.
이들 지구에 적합한 사회적 기업 유형으로는 ▲서민층 건강관리를 위한 의료생활협동조합 같은 지역공동체 형성 모델 ▲맞벌이 부부 등 입주민을 위한 보육·교육서비스 같은 수요자 지원 모델 ▲단지 내 화물 수취·배분 및 택배 사업 같은 일자리 창출 모델 등이 검토되고 있다.
국토부는 최근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회의를 열어 타당성을 검토한 데 이어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등 관련 부처와 협의해 효과적인 운영·지원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LH(한국토지주택공사)도 국민임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사회적 서비스와 일자리를 제공하는 ‘LH 마을형 사회적 기업’을 입주시키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
한편 마을형 사회적 기업은 임대단지 입주민과 인근 주민에게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해 제공하고 그에 따른 일자리를 만듦으로써 지역경제 선순환 및 활성화를 도모하는동시에 수익금을 지역사회 공익사업에 재투자하는 기업이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