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설’ 보내세요

반가운 가족들… 공동생활 수칙으로

온 가족이 한 자리에 모이는 설 명절이 한 주 앞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이번 설에는 인체감염 위험은 없다지만 구제역이 확산되고 있고, 여기에 조류인플루엔자, 신종플루, 독감까지 기승을 부리고 있어 걱정이 앞선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설 명절에는 떨어져 있던 가족들이 공동생활을 하고, 평소 생활리듬, 식습관이 깨져 면역력이 떨어지기 쉽다”며 “‘가족인데 뭐 어때’라는 생각으로 서로 방심하다가 건강을 해치면 가족간의 화목도 결국 깨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공동생활 수칙 정해 가족건강 지키기

 

여러 가족들이 모이는 만큼 공동생활 수칙을 정해놓는 것이 좋다. 우선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공동생활 수칙으로는 ‘실내에서는 무조건 금연’, ‘아이들 취침시간은 정하기’, ‘아침식사는 모두 다같이’, ‘개인 수건 따로 사용하기’, ‘뽀뽀하지 않기’, ‘식사 후 공동체조하기’ 등이 있다. 이처럼 모임 첫날부터 원칙을 정해야 모두의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이 된다. 특히 노인과 어린이는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더욱 주의를 요한다. 늦은 것 같지만 아직 접종을 안했다면 독감예방주사를 맞는 것도 도움이 된다.

 

실내 금연·개인수건 사용ㆍ뽀뽀 안하기 등

 

간단한 실천으로도 전염성질환 예방 도움

 

심한 감기 증상이나 기타 전염성 질환이 있는 사람은 스스로 가족 중 고위험군(65세이상, 영·유아, 임산부, 만성질환자 등)과의 접촉을 피해야 하며, 손을 자주 씻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것이 좋다.

 

■ 수건·이불 따로 쓰기

 

환자가 입었던 옷, 환자가 덮고 있던 이불, 사용하던 수건 등에는 감염자의 코나 입에서 나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수 시간 생존해 있을 수 있어 감염의 매개체가 되기 때문에 청결히 관리해야 한다.

 

특히 환자가 사용했던 수건, 이불, 옷 등을 세척하지 않은 상태에서 함께 사용하거나 입는 것은 금해야 한다. 번거롭더라도 이번 설 명절에 내려갈 때는 간단히 덮을 수 있는 개인 이불이나, 개인 수건을 별도로 가져가는 것도 도움이 된다.

 

■ 반갑다고 ‘뽀뽀’는 금물

 

상당수의 바이러스들이 타액을 통해 전염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오래간만에 만난 아이들을 보고 반갑다고 뽀뽀하거나, 지나치게 친밀하게 접촉하는 것은 삼가는 것이 좋다. 식사 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며, 개인별로 작은 그릇에 따로 덜어먹는 ‘앞접시 가족문화’를 생활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아이들에게 음식 등을 먹여줄 때도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함께 사용하지 않아야하고, 음식을 조리하는 사람 중 의심 증상이 있다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 청소 어렵다면 ‘환기’라도 자주해야

 

실내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여러 사람이 모이는 만큼 지저분해지기 쉽기 때문이다. 청소가 어려울 때 가장 지키기 쉽고 효과적인 실내 청결법은 환기다. 제한된 공간에서 여러 사람이 호흡을 하다보면 실내 공기가 탁해지기 쉽다. 바이러스 등의 공기 감염을 막기 위해 자주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적절한 운동으로 평소 리듬이 깨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가족공동규칙에 ‘아침식사 함께하기’, ‘아이들은 몇 시에 취침’, ‘식사 후 가벼운 산책하기’ 등을 포함시키면 쉽게 실천할 수 있다. 

 

윤철원기자 yc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