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녘은 김정은 청년대장 후계체제 확립이후 주민통제 강도를 더욱 높인 것으로 대북관련 단체 소식통이 전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공개처형이나 즉결처분이다. 즉 재판없이 총살한다.
지난 3일 황해북도 사리원시 문화회관 광장에서 주민 500여명이 지켜보는 중 40대 여성과 30대 보위부원 등 2명이 공개 총살 당했는데, 대북전단을 주워 돌려본 혐의라는 것이다. 처형당한 두사람의 가족은 평양남도 개천14호관리소 (정치범수용소)로 끌려갔다는 것이다.
또 지난해 12월14일 얼어붙은 압록강을 건너 중국 창바이 땅을 밟은 양강도 혜산시 주민 7명이 뒤따라 추격한 인민군들 사격으로 5명은 그자리에서 숨지고, 부상한 2명은 끌려갔다는 것이다. 중국측은 이 같은 북측의 소행에도 별다른 이의 제기가 없었다고 한다.
탈북자와 대북전단에 이처럼 더욱 민감해진 것은 김정은 청년대장 취임후 민심 동요를 제압하기 위한 특별지시인 것으로 알려졌다.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9일 백악관에서 양국 정상회담을 마치고 가진 공동기자회견서 미국 기자의 질문을 받고도, 짐짓 못들은체 넘긴 일이 있었다. 미국 기자가 재차 “왜 인권 질문에 답을 주지 않느냐”고 따지자 후진타오는 “통역과 해석문제로 질문을 듣지 못했다”며 “오바마 대통령에게 한 질문인 줄 알았다”고 말해 좌중의 폭소를 유발했다. 후진타오는 답변하기 곤란한 질문에 엉뚱한 말로 둘러대어 부드럽게 피한 것이다.
중국의 인권문제는 미국의 끊임없는 추궁 대상이 되는 취약점이다. 미국의 이 같은 인권문제 제기에 중국은 내정간섭이라고 반박하면서도, 내심으로 꿀리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평양정권은 더한다. 중국은 그래도 재판은 한다. 민주화를 탄압해도 사법질서는 갖춘다. 그러나 북녘은 그나마 재판도 없이 즉결처분하거나 공개처형하기가 예사다. 이도 그들 법률이다. 지구상에서 북녘 아니고는 볼수없는 참으로 가혹한 주민통제다.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