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정 만족도 조사
경기도민들은 경기도가 추진하고 있는 각종 사업에 대해 엇갈린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도에 따르면 도가 지난해 7~12월 6개월에 걸쳐 한국능률협회에 의뢰, 교통·복지·소방분야 등 전문가 364명을 대상으로 경기 일자리 창출 등 25개 정책에 대해 전화 및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기도정 정책평가 평균 점수는 80.2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75.5점에 비해 4.7점 오른 것이다. 또 일반도민과 정책참여자, 공무원 등 2만3천385명을 대상으로 117개 시책에 대해 만족수준을 조사한 결과 81.7점으로, 전년도 71.7점에 비해 10.0점이 높아졌다. 만족수준은 5점 척도를 기준으로 50~69점은 ‘보통’, 70~79점은 ‘만족’, 80점 이상은 ‘매우 만족’을 의미한다. 하지만 전반적인 경기도 정책과 시책에 대한 평가가 전년 대비 도민들로부터 후한 점수를 받은 것과는 달리 각 사업별 만족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 전문가가 바라본 경기도정 25개 주요 정책 평가
우선 전문가들은 민선 5기 역점사업인 ‘GTX’와 민선 4기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는 ‘통합환승할인’ 등 교통건설분야에 82.1점을 주며 이들 정책의 공익기여 부문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 도민에게 직접 다가가는 생활민원 현장 정책인 ‘365-24 언제나 민원실’ 정책이 포함된 기획감사분야에도 전문가들은 81.6점의 높은 점수를 줬다.
특히 전문가들은 도시주택분야 중 ‘아파트 품질검수’에 대해서는 최고점인 89.1점을 줬으며, ‘국제항공전’과 ‘도서관’ 사업이 포함된 문화교육분야의 경우 전 분야에서 88.8점의 후한 평가를 내렸다.
자치소방분야에서는 ‘화재피해 저감 정책’에 86.9점을, ‘역량기반 교육’에 84.3을 주는 등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했으며, 환경정책분야의 ‘팔당호 수질개선’(86.9점)에 대한 만족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시주택분야의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지원’에 대해서는 59.5점을 주며 해당 정책에 대한 불만족을 적극 표현했으며, 구제역 확산으로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전염병 확인 진단’에 대해서는 68.9점을 주며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민선 4·5기 역점사업 중 하나인 ‘무한돌봄센터’ 사업에도 69.1점을 부여하며, 사업 추진을 위한 직원의 전문성 부족과 전문가·실무자의 의견수렴 및 홍보부족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 도민이 바라본 경기도정 117개 주요 시책 평가
도민들은 경제(78.1점)·교통건설(81.9점)·기획감사(77.3점)·농정분야(86.7점)·도시주택(79.8점)·문화교육(78.9점)·복지(89.8점)·여성(83.1점)·자치소방(82.5점)·환경(81.5점) 등 도가 추진하는 각 분야별 사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후한 평가를 내렸다. 하지만 세부적인 사업 추진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도민들은 경제정책분야의 경우 ‘외국인 투자환경 개선’에 65.2점의 비교적 낮은 점수를 주며 참여기업들의 홍보자료 부족과 지원금 확대 요청에 대한 도의 적극적인 개선을 요구했다.
또 교통건설분야에서는 ‘경기북부 도로 이용’(66.9점)과 ‘용인경전철 시승자 만족도’(69.4점)을 주는 등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기획감사분야의 ‘도정 홍보’와 ‘뷰티디자인 엑스포’에는 각각 59.3점과 49.3점을 주며, 이들 사업에 대한 만족 수준을 낮게 평가했다.
이와 함께 문화교육분야의 ‘종교행정 지원’에도 57.8점의 평균 이하의 점수를 주며 행정지원과 종교단체 종사자들과의 의사소통 부재를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이밖에 도민들은 환경분야의 ‘경기도 생태하천 복원사업’(69.1점), 자치소방분야의 ‘도민안전 체험’(66.4점) 등에 대해서도 평균 이하의 평가를 내렸다.
도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전문가 및 도민들이 경기도가 추진하는 각종 사업에 대해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 같다”면서도 “하지만 무한돌봄센터 등 운영 기간이 짧은 일부 사업에 대해서는 아직 도민들의 인식이 부족한 만큼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이에 대한 평가도 달라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도정 성과 측정 결과를 토대로 만족수준이 낮은 정책·시책에 대해서는 해당 실·국과 요인분석을 실시, 내년 평가 시 각 분야의 행정역량 향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