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협의회서도 논의 안해 일각 “대권 의식 김지사 정치적 부담 탓”지적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를 추진했던 경기도가 돌연 유치위원회 구성을 백지화하고 도내 국회의원들과의 정책협의회 안건에서도 제외해 김문수 경기지사의 정치적 부담으로 사실상 유치를 포기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이 도는 정치논리에 의한 입지 선정을 반대한다는 이유를 내세우고 있지만 충남권의 반발 등에 부담을 느낀 또다른 정치적 판단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7일 도에 따르면 도는 과학기술계와 경제계 등의 의견을 수렴, 정부청사 이전으로 공동화가 우려되는 과천에 정부가 추진 중인 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를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도는 정부의 추진일정에 맞춰 시설 배치 및 타당성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며 다음달 중 용역결과를 첨부, 교육과학기술부에 과학벨트 유치제안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현재 충남권을 비롯해 광주광역시, 대구·경북권 등 정치권을 중심으로 유치 움직임이 활발한 상태다.
그러나 도가 갑작스럽게 과학벨트 유치를 위한 유치위원회 구성을 철회한 뒤 순수 과학자 중심의 유치활동에 나서기로 하면서 도의 추진 의지에 논란이 일고 있다. 타 시·도가 정치권이 나서 유치운동을 벌이고 있는 상태에서 유치위원회까지 구성하지 않을 경우 사실상 유치가 어렵기 때문이다.
당초 도는 이달 중 도와 과학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유치위원회를 구성, 유치활동에 나설 예정이었던데다 그동안 도는 과학벨트 유치 의지를 수차례 피력했다. 또 김 지사도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과학벨트를 과천에 유치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정치권의 포퓰리즘 행태를 비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도의 입장이 불과 한달여만에 180도 바뀐 배경에는 정치적 판단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김 지사는 한나라당내 잠룡으로 거론되면서도 수도권 규제 완화 및 세종시 수정안 주장으로 비수도권의 비난을 받고 있어 잠재적 대권주자로서 과학벨트 유치가 부담으로 작용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와 관련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도내 국회의원 조찬간담회에서 과학벨트 유치와 관련된 논의가 전무했던 것도 이같은 분석을 뒷받침한다는 설명이다.
또 유치에 관심을 보인 지역과 과학계 관계자들은 정치권이 나서도 어려운데 유치위원회까지 구성하지 않는 것은 사실상 유치를 포기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정치권이 특정지역을 놓고 싸우고 있는 상황에서 추진위를 구성한다 안 한다가 아니라 추이를 지켜보는 것”이라며 “다만 정부가 공모 등 절차를 진행하지 않는데 도가 먼저 나서서 유치위원회를 구성하면 더 정치적인 행동으로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동식·구예리기자 ds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