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아파트로 ‘전세난 탈출’

수도권 전역 ‘전세 품귀’ 극심 수요자들 중소형 매매로 선회 김포·파주·용인 등 노려볼 만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전세가 상승이 이어지면서 전세난이 좀처럼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높은 전세가에 세입자들이 외곽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수도권 전역에서 전세물건 품귀현상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15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전세가 상승이 입주물량 감소와 신규 분양 감소 영향으로 한동안 지속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견되면서 자금마련이 용이한 중소형아파트 매매로 선회하는 수요가 늘고 있다.

 

계약 후 바로 입주가 가능하고 시세상승여력이 높은 준공 후 중소형 미분양 단지로 전세난을 극복해 보는 것도 전세 난민 탈출의 하나의 방법이다.

 

미분양 단지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어 물량 확보가 쉽다.

 

특히 경기지역의 경우 기반시설이 갖춰진 택지지구 미분양 아파트를 노려볼만하다.

 

LH는 김포시 양곡지구 B-1블록에 113~114㎡ 345가구를 2008년 11월 분양했다. 입주는 2010년 12월 초부터 시작됐고 현재 계약 가능한 잔여물량은 117가구 정도가 남았다.

 

양곡지구 끝자락에 위치하며 김포 신양초등, 신양중, 양곡고로 통학하게 된다. 인근에 김포한강신도시, 양촌지방산업단지 개발이 진행 중으로 향후 직·간접적인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안은 남양주시 진접읍 진접지구 내에 113㎡ 단일주택형으로 1천100가구(금곡리 1080번지)와 1천240가구(금곡리 1117번지)를 분양했다.

 

모두 전용면적 85㎡이하 중소형아파트로 입주는 2010년 2월 말부터 이뤄졌고 현재 남아있는 잔여가구는 총 46가구 정도다.

 

대규모 택지개발로 기반시설이 잘 갖춰져 있으며 주요 도로망인 47번국도와 국지도 86호선, 383호선 진입이 수월하다.

 

경기도시공사는 파주시 문산읍 당동지구 5-2블록에 111~115㎡ 411가구, 6블록에 110~114㎡ 320가구를 2008년 10월 분양했다.

 

두 단지 모두 전용면적 85㎡이하 중소형아파트로 구성됐으며 잔여물량은 5-2블록에 45가구, 6블록에 22가구 정도 남았다.

 

입주는 2010년 12월 초부터 진행됐다. 경의선 복선전철 문산역을 이용할 수 있어 마포 상암동까지 1시간이면 출퇴근이 가능하며 홈플러스(문산점)와 당동공원이 인접해 있다.

 

대우자동차판매 건설부문은 평택시 청북지구 5블록에 114~115㎡ 640가구를 2008년 7월에 분양해 2011년 1월부터 입주가 시작됐다.

 

현재 계약 가능한 잔여물량은 40%정도. 청북지구는 인근 평택시 오성면 양교리 일대에 평택 오성산업단지가 조성돼 지역경제 활성화와 근로자들의 이주수요가 예상돼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벽산건설은 안성시 공도읍 만정리 274번지에 111~201㎡ 1천378가구를 2008년 5월 분양했다.

 

이중 전용면적 85㎡이하 중소형 잔여물량은 10가구 정도 남아있다. 안성인터체인지를 통한 경부고속도로 진입이 수월하고 38번국도와도 인접한다. 2017년 제2경부고속도로가 완공되면 교통여건이 한층 개선될 전망. 학군은 공도초등학교, 공도중, 경기창조고가 걸어서 5~10분 거리에 위치한다.

 

일신건영은 용인시 죽전동 1483번지에 111~112㎡ 260가구를 2008년 5월 분양했으며 입주는 2010년 4월 중순부터 시작됐다. 잔여물량은 10가구 정도다.

 

용인시 이동면 송전리 182번지에 세광종합건설이 98~151㎡ 782가구를 2008년 2월 분양했다. 입주는 2010년 4월 말부터 진행됐으며 현재 중소형 물량은 98~110㎡에서 6가구 정도 남았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