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란’에 경매시장 ‘북적’

주택수요자 발길 몰려… 낙찰률 석달 연속 상승세

최근 전세대란 여파로 경매시장에서 집을 사려는 수요가 몰리고 있다.

 

17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2회 유찰된 수도권아파트 10건 중 약 4.5건은 직전 유찰가를 넘겨 낙찰됐다.

 

2월(1∼15일) 중 낙찰된 수도권내 2회 유찰아파트 76건 중 34건이 직전 유찰가를 넘겨, 지난해 11월(31.78%) 이후 석달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작년 8월(15.63%)과 비교하면 약 3배 증가했다.

 

특히 전세난의 영향으로 중소형아파트(전용 85㎡ 이하)에 입찰이 대거 몰리면서 22건 중 15건이 직전 유찰가보다 높은 금액에 낙찰돼, 54건 중 19건만이 직전 유찰가를 상회한 대형아파트(전용 85㎡ 초과)와 대조를 이뤘다.

 

지역별로는 서울시내 2회 유찰 물건 27건 가운데 14건이 직전 유찰가(감정가의 80%)보다 높은 금액에 낙찰됐고, 경기도는 47건 중 18건, 인천은 유찰 물건 2건 모두 직전 유찰가(감정가의 70%)를 웃도는 가격에 낙찰됐다.

 

지난 11일 2차례 유찰된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인정프린스(전용 84.72㎡)는 25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감정가(1억8천만원)의 95.56%인 1억7천200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이정민 부동산태인 팀장은 “통상 2회 유찰물건은 직전 유찰가를 넘기지 않는 수준에서 낙찰되지만 부동산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거나 호황일 경우 이런 일이 흔히 발생한다”면서 주택구입 수요자는 1회 유찰물건 등에 관심을 가지라고 조언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