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전세난 여파… 도내 순이동 14만2천여명
지난해 주택경기 침체와 전세난 등에 따라 인구이동률이 1974년 이후 36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국내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읍·면·동 경계를 넘어 이동한 사람은 822만7천명으로 전년보다 3.1%(26만1천명) 줄어 1998년(815만6천명) 이후 가장 적었다.
인구이동률(인구 100명 당 이동자 수)은 지난해 16.5%로 전년보다 0.6%p 감소했으며 1974년의(15.3%) 이후 36년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 중장기 측면에서 도시화가 완화되는 추세가 이어지고 단기적 측면에서는 주택경기 침체와 전세난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권역별 순이동(전입-전출)의 경우 수도권(3만1천명)이 전입 초과를 보였지만 순유입 규모는 전년보다 1만3천명 줄어 1998년(9천200명) 이후 12년 만에 가장 적었다.
시·도별 순이동은 경기가 14만2천437명을 기록해 전입초과 규모가 가장 컸던 반면 서울은 -11만5천23명을 기록해 전출초과 1위를 차지했다.
경기는 인구의 1.2%가 순유입됐지만, 서울은 인구의 1.1%가 순유출됐고, 서울 전출자의 63.4%는 경기로 전출했으며 서울 전입자의 53.6%는 경기에서 전입된 것으로 집계됐다.
시·군·구별 순이동률을 보면 부산 기장군이 12.5%로 순유입률이 가장 높았으며 오산시(11.6%), 파주시(8.1%), 광명시(7.1%), 양주시(6.3%)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