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자체 사회적기업 육성 적극적

“고용·소득창출 동시만족”… 지원 조례 제정 잇따라

인천지역 자치단체들이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은 저소득층과 고령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나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으로 취약계층의 고용창출과 소득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우선 인천시도 올해를 사회적기업육성의 원년으로 삼아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시의 올해 사회적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은 25억원 규모.

 

지난해말 기준으로 사회적기업으로 등록된 기업은 모두 33곳이다. 지난 2009년말 14곳에서 1년만에 2.4배 늘었다. 인천의 사회적기업 수는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서울(114곳)과 경기(87곳) 등에 이어 전국에서 세번째로 많다.

 

강화군을 비롯해 사회적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조례를 제정한 기초자치단체는 8곳에 이르고 중구와 옹진군 등은 조례(안)을 만들고 있다.

 

강화군의회는 지난 17일 임시회를 열고 ‘강화군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 조례(안)’을 만장 일치로 심의·의결했다.

 

강화군의 사회적기업 육성조례는 사회적기업이 생산한 물품과 서비스를 우선 구매하고 강화군이 사회적기업에 대한 경영지원과 재정·설비를 예산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남동구의 경우 지난 연말 사회적기업 육성지원 조례를 제정한 후 구청 1층 현관에 66㎡ 규모의 ‘사회적기업지원센터’를 카페 분위기로 운영하는 등 사회적기업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시 관계자는 “사회적기업이 지역에서 활성화되면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과 소득 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며 “사회적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도 매년 늘릴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창열기자 trees@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