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단계 ‘악취 끝 프로젝트’ 돌입

공단 외 일반 사업장으로 지원대상 확대

경기도가 반월·시화공단 등 도내 4개 공단지역의 악취 제거를 위해 추진했던 ‘악취 끝 프로젝트’의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관리대상을 확대한 2단계 프로젝트를 시행한다.

 

22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06년 전국 최초로 악취발생업체에 악취방지시설 설치자금을 지원하는 조례를 제정한 뒤반월공단, 시화공단, 반월도금단지, 평택포승지구 등 4개 공단의 악취발생을 관리해왔다.

도는 지난 5년간 해당 공단내 285개 사업장에 143억3천만원을 들여 업체당 최고 5천만원을 지원, 악취발생 저감 시설을 설치도록 했다.

 

이 결과, 악취 오염도와 암모니아 농도가 크게 감소했다. 지난해 사업장의 배출구 측정오염도 조사결과, 악취오염도가 2006년 874배에서 108배로 감소했고 주민의 악취민원도 752건에서 389건을 줄었다.

 

이에 따라 도는 올해부터 오는 2015년까지 5년간 96억4천만원을 들여 제2단계 악취 끝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악취관리지역인 4개 공단 외에 오산시 누읍동 공단을 새로 포함하고 피혁공장, 플라스틱공장 등 악취관리지역에 포함되지 않은 개별 공장 등 140개 사업장으로 관리범위를 넓혔다.

 

이를 위해 도는 올해 첫 단계로 10억원을 투입해 안산(5곳), 시흥(5곳), 평택(1곳), 오산(3곳), 화성(2곳)에 있는 16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악취 잡기에 나선다.

 

또 도는 악취관리지역 외 민원 유발 사업장도 악취관리를 할 수 있도록 최근 ‘악취방지시설 설치 및 개선 보조금 지원 조례’를 개정했다. 조례개정으로 5년 이내에 보조금 지원을 받지 않은 사업장이 신규로 악취방지시설을 설치하면 업체당 5천만원(자부담 40%)을 지원받을 수 있다.

 

경기도 김교선 기후대기과장은 “악취 끝 프로젝트 1단계 사업으로 공단 내 악취가 매우 감소하고 주민 민원도 덩달아 줄어드는 효과를 얻었다”면서 “공단 외 지역도 악취를 중점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