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현지서 조사 벌여
정부는 9일 주 상하이 총영사관 일부 직원들의 추문 및 기밀유출 의혹 사건과 관련, 국무총리실을 필두로 한 합동조사단을 구성키로 했다. 합동조사단에는 총리실 외에도 법무부, 외교통상부, 정보유출 관련 기관 등이 참여해 상하이 현지에서 조사를 벌일 계획으로 알려졌다.
총리실은 이와 별도로 이날 상하이 스캔들 발생 당시 책임자였던 김정기 전 총영사를 이틀째 불러 조사하고 있으며 합동조사가 이뤄질 경우 기밀유출 파문이 더욱 확산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또 단순한 치정 사건에서 한국측의 극비 정보를 캐내기 위해 고도로 계산된 스파이 사건으로 확대될 경우엔 양국 간 외교 문제로도 비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도 이날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현안보고를 통해 “상하이 총영사관에 대한 (정부의) 특별 합동조사가 계획돼 있다”고 밝혔다.
총리실 공직복무관리실은 이날 오후 김 전 총영사를 창성동 별관으로 불러 이틀째 조사를 벌였다.
총리실은 중국 여성 덩모씨와 당시 영사들 간의 스캔들 뿐 아니라 이명박 대통령 후보 선대위 비상연락망 등의 문건이 덩씨에게 흘러들어간 경위, 추가 기밀 유출여부 등을 집중 추궁했다.
외교부도 이날 기밀유출 의혹에 대한 자체 조사에 착수하는 한편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 재외 공관의 근무기강 확립과 보안 강화를 위해 공관 직원들에 대한 직무감찰 활동을 강화하기로 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