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화성시장 지방선거에 한나라당 최영근시장에서 민주당 채인석시장으로 바뀐후 채 시장을 비롯 시의원 등은 전임 시장의 시정 운영 잘못으로 재정파탄에 이르게 되었다며 외부에 알리는 등 바로 모라토리엄을 선언할 것 같은 처지에 놓였었다.
그러나 최근 최 전시장의 방만한 시정운영으로 화성시가 재정파탄으로 치닫는다는 사실이 아닌 흔적이 나오면서 진실이 밝혀지고 있다.
채 시장은 당선이후 일부 읍면을 돌며 화성시가 재정파탄 지경에 이르러 각종 공사를 중단할 위기에 놓였다고 주민들에 설명했다.
재정파탄의 이유는 지난해 1천500억원을 LH공사에서 받기로 했으나 받지 못한 것이 화근이 되었다.
이 돈을 받아야 그동안 추진해왔던 각종 공사대금을 지급해야하는데 못함으로써 재정파탄에 이르게 됐다고 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당초 화성시는 전역에 걸쳐 신도시 추진에 따른 기반시설비로 LH공사가 5천282억원을 주기로해 지난 2007년 부터 2천762억원을 받았다.
이는 전임 최 시장이 사실상 뺏어온것이나 다름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보신주의행정을 폈으면 이런 일이 불거지지 않았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해 말 돈이 한푼도 없어 2011년도 세입예산을 당겨써야 한다고 했으나 실질적으로 수백억원의 잔고가 있었다는 것이 뒤늦게 밝혀진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 3일 채 시장은 월례회의에서 직원들이 모인 가운데 예산을 당겨쓰기 않해도 된다고 말해 일부 간부 공무원들이 깜작 놀래며 이해를 못하겠다고 수군대고 있다.
이에 청내에서는 재정파탄 위기론은 전 최시장을 죽이기 위한 의도적인 정치적인 배경이 있는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돌며 결국 피해는 주민들이 입는 것이라고 아쉬워하면서 성숙한 지방자치제가 아쉽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강인묵 남부 취재본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