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 공동 기상서비스 제공 추진

조석준 청장,2013까지 한중일 실시간 날씨 제공

한국ㆍ중국ㆍ일본 등 동북아시아 3국이 공동으로 기상과 지진에 대한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석준 청장은 21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동아시아 지역은 황사, 태풍, 집중호우 등 동일 기상권역을 갖고 있다”며 “한·중·일 3국이 기상과 기후 감시·예측에 대한 공동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면 사회와 경제, 산업 전반에 걸친 효과는 상상 이상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기상청은 오는 2013년까지 한·중·일 공동기상서비스 추진을 위해 통합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해 3국의 실시간 날씨를 제공하고 각국의 위성 레이더 자료를 통합 표출할 예정이다.

 

기상청은 또 올해 안으로 기상과 지리 정보를 결합해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에 제공하는 ‘웨비게이션’(Weather+Navigation) 서비스를 실시하기로 했다.

 

아울러 트위터,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지진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양방향 소통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조 청장은 일본 대지진과 관련, “이번 일본 지진사태의 경우 유선망이 의미가 없어지는 상황이 발생했다”며 “지진이란 한 나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과의 기상 협력도 추진해 한반도의 지진 발생 특성과 백두산 지진 활동에 관한 상호 기술 교류와 공동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상호 협력이 이뤄질 경우 기상 기술의 통합 발전으로 향후 통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남북은 지난 2007년 12월 개성에서 열린 제1차 남북기상협력 실무 접촉에서 기상전용 통신망 구축, 실시간 기상정보 교환 등을 논의했으며 현재는 세계기상기구(WMO) 세계기상통신망(GTS)을 통해 제한적으로 기상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그는 또 한국형 선진 지진·지진해일 조기경보체계를 도입하기로했다. 지진 관측망을 2020년까지 300여개로 늘려 조기경보 시간을 지난해 300초 안에서 2015년 50초 이내, 2020년 10초 이내로 단축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