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과·음료·패스트푸드 가격인상 도미노… 라면·빙과류도 줄인상 예고
설탕, 밀가루 같은 소재식품에 이어 과자, 음료 등 가공식품 가격까지 출렁이면서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일부 식품업체들이 가공식품 가격을 올리기 시작했으며 다른 업체들의 도미노식 인상이 계속될 전망이어서 앞으로의 식품물가 전망도 어두운 상태다.
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동아원은 이날부터 밀가루 가격을 8.6% 인상했고 다른 제분업체들도 조만간 값을 올릴 계획이다.
제당업계가 지난해 12월과 지난달 연이어 설탕값을 9~10% 올린 데 이어 밀가루까지 소재식품의 가격인상이 단행되자 가공식품 가격도 뜀박질을 시작했다.
해태제과는 지난달 말부터 주력제품인 오예스, 홈런볼, 후렌치파이를 비롯한 24개 품목의 대형 유통업체 공급가격을 평균 8% 올렸으며 롯데칠성음료도 소매업체에 들어가는 펩시콜라, 사이다 등 납품가를 5~10% 올렸다.
또 유한킴벌리도 립톤 아이스티 10여개 품목에 대해 평균 10%가량 가격 인상을 요청, 일부 유통업체와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수입맥주 밀러도 10여개 품목에 대해 평균 5%가량 값을 인상하는 방안을 유통업체와 협의 중이다.
여기에 간단히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패스트푸드 업체도 가격 인상에 합류했다.
버거킹은 지난달부터 1천500원이던 콜라 값을 100원 올리는 한편 콜라가 포함된 일부 세트메뉴도 100원씩 인상했다.
이와 함께 한국맥도날드는 지난 1일부터 런치세트 메뉴를 최대 300원 올렸고, 던킨도너츠는 베이글 일부제품을 100원씩 오른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
업계는 이와 같은 식품가격 인상이 1~2개 업체에 그치지 않고 ‘전방위적’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다른 제과·음료·빙과·라면 업체들도 빠르면 1~2주, 늦어도 이달 안으로 제품 가격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식품업체들은 지난해부터 곡물, 채소, 포장재 등 각종 원자재값이 오를 때 정부 눈치를 보면서 실제 인상에 나서지 못했으나 이번에는 조심스럽게 인상 계획을 내놓고 있다.
이는 원가상승 압박을 견디지 못한 식품업체들의 볼멘소리가 높아지면서 정부가 앞장서 인상을 억제하던 때와는 분위기가 달라졌기 때문.
식품업체 관계자는 “원가 상승 압박은 오랫동안 계속 쌓여왔던 것이고 선두업체가 나설 때만 기다리고 있다”며 “조만간 일부 제품 가격을 올리게 될 것이라고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