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농협 전산망 외부 침입 흔적 발견”

해킹 가능성 커… 외부기관 공조 원인 규명

농협 전산망에 외부에서 침입한 흔적이 발견돼 해킹 가능성이 높아졌다.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를 수사중인 검찰은 20일 “외부에 의한 침입 흔적이 상당 부분 있다”며 “외부기관과 공조를 강화해 원인 규명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김영대 부장검사)는 금융보안연구원(FSA) 등 전자거래·금융보안 분야의 3∼4개 외부 기관과 적극 공조해 농협 서버운영 시스템과 삭제명령 프로그램 등의 구동 과정을 점검할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정확한 경로를 파악해 봐야 하기 때문에 당분간 시스템과 프로그램의 분석에 치중할 것”이라며 “당초 생각했던 것보다 더 복잡한 것 같다. 분석에 2∼3주 가량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말했다.

 

검찰이 ‘외부 침입’ 흔적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에 따라 향후 수사는 특정한 목적을 가진 외부 해킹 가능성과 내부자가 외부 해커와 공모해 범행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진행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검찰은 노트북을 비롯한 서버운영 관련 컴퓨터들의 접속기록과 각 운영·명령 프로그램의 생성 시기, 성격 등을 분석하면서 정상적인 프로그램인지 해킹에 의한 프로그램인지 등을 파악하고 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