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갯벌 매립 등 서식지 없어지면서 올 1천848마리… 전년比 499마리 ↓
인천을 주요 번식지로 삼고 있는 멸종위기 저어새가 1년동안 20%나 줄어들었다.
24일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올해 발견된 저어새는 1천848마리로 지난해보다 499마리(21%)나 줄었다.
지난 1994년 351마리가 발견된 뒤 꾸준한 보호활동으로 지난해 2천347마리까지 늘어나는 등 증가세를 보이고 있었지만 올해 들어 크게 감소한 것이다. 저어새는 3월 중순부터 11월까지 인천지역 강화 남단 각시바위, 강화 서북쪽 석도 ,비도, 유도, 우도, 남동공단 유수지 등 대부분 인천지역에서 번식하고 있으며 일본, 중국, 홍콩, 마카오,필리핀 등에서 겨울을 날고 봄에 다시 우리나라로 들어온다.
환경당국과 환경 시민단체 등은 기상이변과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저어새 먹이가 줄어들고 인천 송도 갯벌 매립 등 서식지가 없어지면서 저어새 개체수가 줄어들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저어새의 대표적인 번식지였던 강화 각시바위는 지난 2009년 이후로는 저어새가 둥지를 트는 일이 많이 줄어들어 최근에는 이 곳을 찾는 저어새들이 거의 없을 정도가 됐다.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인천 송도갯벌이나 남동공단 유수지도 저어새가 둥지를 틀고는 있지만 매우 열악한 환경”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국립생물자원관 척추동물연구과 김진한 연구관은 “지난해 저어새의 대표적인 번식지역인 인천 등에서 폭우가 이어지는 등 기상이변이 많았고 대만 등 저어새가 겨울을 나는 지역에서 한파 등으로 먹이가 줄어들었던 영향이 큰 것 같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