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앞둔 인천복지재단 주민의견 담아 특화해야”

앞으로 출범할 인천복지재단은 사회복지협의회와의 업무 중복 및 옥상옥의 단체장 치적 쌓기용 사업이 되지 않도록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들을 모아 특화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인천시와 인천사회복지협의회가 26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한 ‘인천사회복지재단 설립 공청회’에서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이처럼 말했다.

 

김 처장은 “지역사회 복지환경 진단 및 예측기능 강화와 민간자원 발굴 및 활용 극대화, 지역단위 복지전달체계 효율화 등이 복지재단의 임무이나 많은 사회복지 관련 단체들과의 업무 중복은 물론 차별화 논란까지 일으킬 수 있고 행정과 재단이 옥상옥의 관리체계로 인식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시는 현재의 재정위기가 파산 직전인 단계에 놓인 상황에서 500억원을 출연해야 하는 복지재단 설립만이 과연 시민들의 복지 욕구를 담아낼 대안인지 되돌아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수형 인천사회복지협의회 정책기획위원장도 “인천복지재단 주요 업무가 사회복지사업법과 상당 부분 일치하고 시의 부채가 9조2천억원에 이르러 재정상태가 좋지 않다면 가장 먼저 사회복지분야가 고통받는다”며 “시가 이사회 및 각 전문위원회에 참여해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사회복지정책에 반영, 효율적으로 실현해 나가는 민·관협력체계 구축으로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준용 시 보건복지국장은 “민·관 통합 사회복지전달 체계인 인천복지재단 설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창수기자 cs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